注
		                       		
		                        
		                        	
		                        		
									
                        			
                        			
                        		
	                     		
			                       	
			                       	
	                     		
	                     		
		                        
                        	
                        	
                        	
                        	
                        		
                        		
                        		
                        			
                        			
		                       		
		                       		
		                       		
		                        
		                        	
		                        		
		                            	○兪樾曰 楊注讀察辯而操僻淫爲句하니 誤也라 當以察辯而操僻五字爲句라 大略篇亦云 察辯而操僻이라하니 是其證이라
		                            	 
									
                        			
                        			
                        		
	                     		
			                       	
			                       	
	                     		
	                     		
		                        
                        	
                        	
                        	
                        	
                        		
                        		
                        		
                        			
                        			
		                       		
		                       		
		                       		
		                        
		                        	
		                        		
		                            	大는 讀爲汰니 淫汰連文이라 仲尼篇曰 若是其險汙淫汰也라하니 是其證이라 之者는 乏之壞字라
		                            	 
									
                        			
                        			
                        		
	                     		
			                       	
			                       	
	                     		
	                     		
		                        
                        	
                        	
                        	
                        	
                        		
                        		
                        		
                        			
                        			
		                       		
		                       		
		                       		
		                        
		                        	
		                        		
		                            	襄十四年左傳曰 匱神乏祀라하고 釋文曰 本或作之祀라하니 蓋之乏形似라 故易誤耳라 淫汰而用乏은 與察辯而操僻相對成文이라
		                            	 
									
                        			
                        			
                        		
	                     		
			                       	
			                       	
	                     		
	                     		
		                        
                        	
                        	
                        	
                        	
                        		
                        		
                        		
                        			
                        			
		                       		
		                       		
		                       		
		                        
		                        	
		                        		
		                            	此文自知而無法勇而無憚으로 至利足而迷負石而隊히 凡七句니 語皆一律이며 而總之曰 是天下之所弃也라하니라
		                            	 
									
                        			
                        			
                        		
	                     		
			                       	
			                       	
	                     		
	                     		
		                        
                        	
                        	
                        	
                        	
                        		
                        		
                        		
                        			
                        			
		                       		
		                       		
		                       		
		                        
		                        	
		                        		
		                            	楊以大而用之四字爲句하여 而釋之曰 以前數事爲大而用之라하니 則上下文氣隔矣라
		                            	 
									
                        			
                        			
                        		
	                     		
			                       	
			                       	
	                     		
	                     		
		                        
                        	
                        	
                        	
                        	
                   			
                    			
                    				
                    				 
                    			
                   			
                        	
                        	
                        	
                        	
	                       	
	                       	
	                       	
	                       	
							                       	
	                        
	                        
	                        	
	                        
	                        	
	                        
	                        	
	                        
	                        	
	                        
	                        	
	                        
	                        	
	                        
	                        	
	                        
	                        	
	                        
	                        	
	                        
	                        	
	                        
	                        	
	                        
	                        	
	                        
	                        	
	                        
	                        	
	                        
	                        
	                        
                        	
		                        
		                        
		                        
		                        
                        		
                        	
		                        
		                        
		                        
		                        	
		                        	
		                        
		                        
                        		
                        		
                        			
			                        
		                       				注
		                       		
		                       		
		                        		
			                            	양경주楊倞注:앞서의 몇 가지 일을 대단하게 여겨 자기 멋대로 한다는 것이다. 
			                             
									
                        			
                        			
                        		
	                     		
			                       	
			                       	
	                     		
		                        
                        	
		                        
		                        
		                        
		                        
                        		
                        	
		                        
		                        
		                        
		                        
                        		
                        		
                        		
                        			
                        			
		                       		
		                       		
		                       		
		                       		
		                        		
			                            	○유월兪樾:양씨楊氏의 주는 ‘찰변이조벽음察辯而操僻淫’을 한 구로 삼았으니, 잘못되었다. 마땅히 ‘찰변이조벽察辯而操僻’ 다섯 자로 한 구를 삼아야 한다. 〈대략편大略篇〉에도 ‘찰변이조벽察辯而操僻’이라 하였으니, 이것이 그 증거이다. 
			                             
									
                        			
                        			
                        		
	                     		
			                       	
			                       	
	                     		
		                        
                        	
		                        
		                        
		                        
		                        
                        		
                        	
		                        
		                        
		                        
		                        
                        		
                        		
                        		
                        			
                        			
		                       		
		                       		
		                       		
		                       		
		                        		
			                            	태大는 ‘태汰’로 읽어야 하니, ‘음태淫汰’는 서로 이어진 글이다. 〈중니편仲尼篇〉에 “약시기험오음태야若是其險汙淫汰也(이처럼 음험하고 비열하며 방자하고 사치스러웠다.)”라 하였으니, 이것이 그 증거이다. 지之는 ‘핍乏’의 획이 탈락된 글자이다. 
			                             
									
                        			
                        			
                        		
	                     		
			                       	
			                       	
	                     		
		                        
                        	
		                        
		                        
		                        
		                        
                        		
                        	
		                        
		                        
		                        
		                        
                        		
                        		
                        		
                        			
                        			
		                       		
		                       		
		                       		
		                       		
		                        		
			                            	≪춘추좌씨전春秋左氏傳≫ 양공襄公 14년에 “궤신핍사匱神乏祀(제물祭物이 모자라 신령이 제사를 흠향하지 못한다.)”라 하고 ≪경전석문經典釋文≫에 “판본에 따라 간혹 ‘지사之祀’로 되어 있기도 한다.”라 하였으니, ‘지之’와 ‘핍乏’이 모양이 비슷하기 때문에 잘못되기 쉬운 것일 뿐이다. 
			                             
									
                        			
                        			
                        		
	                     		
			                       	
			                       	
	                     		
		                        
                        	
		                        
		                        
		                        
		                        
                        		
                        	
		                        
		                        
		                        
		                        
                        		
                        		
                        		
                        			
                        			
		                       		
		                       		
		                       		
		                       		
		                        		
			                            	‘음태이용핍淫汰而用乏’은 ‘찰변이조벽察辯而操僻’과 상대하여 글이 이뤄진 것이다. 이곳의 글은 ‘지이무법용이무탄知而無法勇而無憚’으로부터 ‘이족이미부석이추利足而迷負石而隊’까지 모두 일곱 구인데 말의 뜻이 모두 동일하며, 마무리하기를 “이런 것은 모두 천하 사람이 버리는 것이다.”라고 하였다. 
			                             
									
                        			
                        			
                        		
	                     		
			                       	
			                       	
	                     		
		                        
                        	
		                        
		                        
		                        
		                        
                        		
                        	
		                        
		                        
		                        
		                        
                        		
                        		
                        		
                        			
                        			
		                       		
		                       		
		                       		
		                       		
		                        		
			                            	양씨楊氏는 ‘대이용지大而用之’ 네 자를 한 구로 삼아 풀이하기를 “앞서의 몇 가지 일을 대단하게 여겨 자기 멋대로 한다는 것이다.”라고 하였는데, 이렇게 하면 위아래 문장의 기세가 막히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