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荀子集解(5)

순자집해(5)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순자집해(5)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22-64 驗之所爲有名하여 而觀其孰行하면 則能禁之矣리라
驗其所爲有名 本由不喩之患 困廢之禍하고 因觀見侮不辱之說 精孰可行與否 則能禁也 言必不可行也
○王引之曰 驗之所下以字 及下文驗之所緣下無字 皆後人所增이라
據注云 驗其所爲有名 驗其所緣同異 則上無以字하고 下無無字明甚이라
上文云 所爲有名注+ 卽以也 說見釋詞 與所緣以同異 不可不察也 故此承上文而言之 又案 孰者 何也注+ 說見釋詞
觀其孰行者 觀其何所行也 觀其孰調者 觀其何所調也 楊讀孰爲熟하여 而訓爲精熟하니 則義不可通이라


명칭이 있게 된 원인을 고찰하여 어느 쪽이 과연 행해질 수 있는가 살펴본다면 그 설을 금지할 수 있을 것이다.
楊倞注:명칭이 있게 된 원인이 본디 사람들의 생각이 서로 이해하지 못하는 걱정거리와 상황이 곤경에 처하는 화를 〈방지하기〉 위해서라는 것을 고찰하고, 이어서 모욕을 당하더라도 치욕으로 여기지 않는다는 설이 원만하여 과연 행해질 수 있을지의 여부를 살펴본다면 〈그와 같은 설을〉 금지할 수 있다는 것이니, 반드시 행해질 수 없다는 것을 말한다.
王引之:‘驗之所’ 아래의 ‘’자와 아랫글(22-66) ‘驗之所緣’ 아래의 ‘’자는 모두 후세 사람이 추가한 것이다.
楊氏의〉 주 ‘驗其所爲有名’과 ‘驗其所緣同異’라 한 것을 근거로 볼 때, 위는 ‘’자가 없고 아래는 ‘’가 없다는 것이 매우 분명하다.
윗글(22-27)에 “所爲有名注+는 곧 ‘’이니, 이에 관한 설명은 ≪經傳釋詞≫에 보인다. 與所緣以同異 不可不察也(명칭이 있게 된 원인과 무엇 때문에 〈사물의 명칭이〉 같은 것이 있고 다른 것이 있는지 〈그 이유를〉 살피지 않으면 안 될 것이다.)”라 하였기 때문에 여기서 그 윗글을 이어받아 말한 것이다. 또 살펴보건대, 이란 ‘무엇’이라는 뜻이다.
觀其孰行’은 어느 쪽이 행해질 수 있는가를 살펴본다는 것이고, 〈아랫글(22-66)의〉 ‘觀其孰調’는 어느 쪽이 조화를 이루는가를 살펴본다는 것이다. 楊氏는 ‘’을 ‘’으로 간주해 읽어 그 뜻을 ‘精熟(원만하다)’으로 풀이하였으니, 뜻이 통하지 않는다.注+이에 관한 설명은 ≪經傳釋詞≫에 보인다.


역주
역주1 (以) : 저본에는 ‘以’가 있으나, 王引之의 주에 의거하여 잘못 덧붙여진 것으로 처리하였다.

순자집해(5) 책은 2020.12.29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