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荀子集解(2)

순자집해(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순자집해(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8-82 故能小而事大 辟之是猶力之少而任重也 舍粹折無適也
除也 讀爲碎 除碎折之外 無所之適이니 言必碎折이라
○先謙案 正論篇云 蹎跌碎折 不待頃矣라하니 與此粹折義同이라 彼用本字


그러므로 재능이 작은데도 수행하는 일이 큰 것은 비유하자면 힘은 적으면서 짐이 무거운 것과 같으니, 몸이 부스러지는 일 이외에 별다른 수가 없을 것이다.
양경주楊倞注는 제외한다는 뜻이다. 는 ‘’로 간주해 읽는다. 몸이 부스러지는 일 이외에 달리 갈 길이 없다는 것이니, 반드시 몸이 부스러질 것임을 말한 것이다.
선겸안先謙案:〈정론편正論篇〉에 “전질쇄절 부대경의蹎跌碎折 不待頃矣(땅바닥에 넘어져서 몸이 부서지는 것도 순간의 일일 것이다.)”라고 하였는데, 이곳의 ‘쇄절粹折’과 뜻이 같다. 저곳에서는 본자本字()를 썼다.



순자집해(2) 책은 2023.12.18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50 서울시 종로구 삼봉로81, 1332호(두산위브파빌리온)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