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荀子集解(3)

순자집해(3)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순자집해(3)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12-42 故由天子至於庶人也 莫不騁其能하고 得其志하며 安樂其事 是所同也
衣煖而食充하며 居安而游樂하며 事時制明而用足이니 是又所同也 若夫重色而文章하고 重味而成珍
○兪樾曰 珍備二字 無義 此本作重味而備珍怪 正論篇食飮則重太牢而備珍怪라하니 是其證也
因涉上句重色而成文章하여 誤衍成字하고 遂倒備珍爲珍備而臆刪怪字矣
韓詩外傳 作重色而成文하고 累味而備珍하여 上句無章字하고 下句無怪字 然成文備珍 正本荀子하니 可據以訂正이라


그러므로 천자로부터 일반 백성에 이르기까지 그 능력을 발휘하여 자기의 뜻을 실현하며, 자기가 하는 일에 편하고 즐겁게 종사하지 않는 사람이 없어야 하니, 이것은 사람들의 공통된 바람이다.
따뜻하게 옷 입고 배불리 밥 먹으며, 거처는 편안하고 놀이도 즐거우며, 일은 시기에 맞게 하고 제도를 분명하게 하여 재용財用이 충분하여야 하니, 이 또한 사람들의 공통된 바람이다. 다양한 색깔로 문양을 성대하게 만들고 여러 가지 식재료로 진귀한 음식을 성대하게 마련하는 것은
유월兪樾:‘진비珍備’ 두 자는 뜻이 없다. 이것(중미이성진비重味而成珍備)은 본디 ‘중미이비진괴重味而備珍怪’로 되어 있었을 것이다. 〈정론편正論篇〉에 “식음즉중태뢰이비진괴食飮則重太牢而備珍怪(음식은 태뢰太牢가 겹치고 각종 진기한 맛을 구비하였다.)”라 하였으니, 이것이 그 증거이다.
위 문구인 ‘중색이성문장重色而成文章’과 연관되어 ‘’자가 잘못 덧붙여졌고 결국에는 ‘비진備珍’이 전도되어 ‘진비珍備’가 되었으며 억측으로 ‘’자를 삭제해버린 것이다.
한시외전韓詩外傳≫에는 ‘중색이성문 누미이비진重色而成文 累味而備珍’으로 되어 있어 위 문구(중색이성문장重色而成文章)에 ‘’자가 없고 아래 문구에 ‘’자가 없다. 그러나 ‘성문成文’과 ‘비진備珍’은 올바로 ≪순자荀子≫를 근본으로 삼은 것이니, 이것을 근거로 수정할 만하다.


역주
역주1 : ‘盛’과 통용한다. 아래의 ‘成’도 같다.
역주2 ()[] : 저본에는 ‘備’로 되어 있으나, 高亨의 설에 의거하여 ‘脩’로 바로잡았다. 高亨이 “備는 마땅히 ‘脩’로 되어야 하니 모양이 비슷하여 잘못된 것이다. 珍脩는 珍羞와 같다.”라고 하였다.

순자집해(3) 책은 2021.01.29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