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荀子集解(1)

순자집해(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순자집해(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1-14 蓬生麻中이면 不扶而直하니라
○ 王念孫曰 此下有白沙在涅이면 與之俱黑二句 而今本脫之하고
今本荀子無此二句하니 疑後人依大戴删之也
楊不釋此二句하니 則所見本已同今本이라
此言善惡無常이요 唯人所習이라
故白沙在涅與蓬生麻中 義正相反하고 且黑與直爲韻하니
若無此二句 則旣失其義而又失其韻矣리라
洪範正義云 荀卿書云 蓬生麻中이면 不扶自直하고 白沙在涅이면 與之俱黑이라하고
褚少孫續三王世家云 傳曰 蓬生麻中이면 不扶自直하고 白沙在泥注+今本泥下有中字하니 涉上文而衍이라 與之皆黑者 土地敎化使之然也라하니라
索隱曰 蓬生麻中以下 竝見荀卿子라하니라
案上文引傳曰靑采出於藍云云하고 下文引傳曰蘭根與白芷云云 皆見荀子하니 則此所引傳 亦荀子也
然則漢唐人所見荀子皆有此二句 不得以大戴無此二句而刪之也
又案群書治要曾子制言篇云 故蓬生麻中이면 不扶乃直하고注+燕禮注 乃猶而也라하니라 白沙在泥 與之皆黑이라하니라注+이라
考荀子書컨대 多與曾子同者하고 此四句亦本於曾子하니 斷無截去二句之理


쑥이 삼밭 속에서 자라면 붙들어주지 않아도 곧아진다.
왕염손王念孫 : 이 구절 다음에 본디 ‘백사재녈白沙在涅 여지구흑與之俱黑(흰 모래가 진흙 속에 있으면 그와 함께 모두 검어진다.)’이라는 두 구가 있었는데 지금 이 판본에는 그 내용이 빠졌고, 《대대례기大戴禮記》에도 이 두 구가 빠지고 없다.
지금 통행하는 《순자荀子》도 이 두 구가 없으니 아마도 후세 사람이 《대대례기大戴禮記》에 의해 삭제한 것으로 보인다.
양경楊倞이 이 두 구를 풀이하지 않았으니 그가 본 판본은 이미 지금의 판본과 같았을 것이다.
이 부분에서는 이란 고정된 것이 아니고 오직 사람이 어떻게 익히느냐에 달려 있다는 것을 말한 것이다.
그러므로 ‘흰 모래가 진흙 속에 있으면[白沙在涅]’과 ‘쑥이 삼밭 속에서 자라면[蓬生麻中]’은 그 뜻이 상반되고 게다가 ‘’자와 ‘’자가 같은 운이다.
만약 이 두 구가 없다면 이미 그 의미를 잃어버리고 또 그 운이 형성되지 않을 것이다.
홍범정의洪範正義》에 “《순자荀子》에 ‘쑥이 삼밭 속에서 자라면 붙들어주지 않아도 절로 곧아지고, 흰 모래가 진흙 속에 있으면 진흙과 함께 모두 검어진다.[蓬生麻中 不扶自直 白沙在涅 與之俱黑]’라고 했다.” 하였다.
저소손褚少孫의 《속삼왕세가續三王世家》에 “전하는 기록에 ‘쑥이 삼밭 속에서 자라면 붙들어주지 않아도 절로 곧아지고 흰 모래가 진흙 속에 있으면注+지금 판본에는 ‘’ 밑에 ‘’자가 있으니 윗글로 인해 잘못 덧붙여진 것이다. 진흙과 함께 모두 검어진다.’라고 한 것은 토지와 교화가 그렇게 되도록 만든 것이다.” 하였다.
색은索隱》에 “‘쑥이 삼밭에서 자라면[蓬生麻中]’ 이하는 모두 《순경자荀卿子》에 보인다.” 하였다.
살펴보건대, 전하는 기록을 인용한 윗글에 “푸른색은 쪽에서 나온다…….”라고 한 것과 전하는 기록을 인용한 아래 글에 “난괴蘭槐의 뿌리와 백지白芷…….”라고 한 것은 모두 《순자荀子》에 보이니, 전하는 기록을 인용한 이곳의 내용도 《순자荀子》인 것이다.
그렇다면 나라와 나라 사람들이 보았던 《순자荀子》에도 모두 이 두 구가 있었을 것이니, 《대대례기大戴禮記》에 이 두 구가 없다 하여 이것을 삭제할 수는 없다.
또 살펴보건대, 《군서치요群書治要》 〈증자제언편曾子制言篇〉에 “그러므로 쑥이 삼밭에서 자라면 붙잡아주지 않아도 곧아지고[故蓬生麻中 不扶乃直]注+의례儀禮》 〈연례燕禮〉 주에 “는 ‘’와 같다.” 하였다. 흰 모래가 진흙 속에 있으면 진흙과 함께 모두 검어진다.[白沙在泥 與之皆黑]” 하였다.注+대대례기大戴禮記》의 내용도 그와 같다.
순자荀子》를 살펴보면 〈증자편曾子篇〉의 내용과 같은 부분이 많고, 여기 이 네 구도 〈증자편曾子篇〉에 근본을 두고 있으니, 결코 두 구를 잘라 없애버릴 이유는 없다.


역주
역주1 大戴記亦脫此二句 : 《大戴禮記》 권7 〈勸學〉에는 앞 두 구만 있으므로 한 말이다.
역주2 大戴同 : 《大戴禮記》 권5 〈曾子制言 上〉에는 네 구가 모두 있으므로 한 말이다.

순자집해(1) 책은 2024.01.0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