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荀子集解(5)

순자집해(5)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순자집해(5)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21-2 治則復經이나 兩疑則惑矣
言治世用禮義하면 則自復經常之正道 兩疑 謂不知一於正道하여 而疑蔽者爲是 一本 作兩則疑惑矣
○兪樾曰 兩 讀如兩政之兩이라 桓十八年左傳 이라하니 是兩 與匹耦義同이라 讀如疑妻疑適之疑
管子君臣篇 內有疑妻之妾이면 此宮亂也 庶有疑適之子 此家亂也 朝有疑相之臣이면 此國亂也라하니라 字亦作擬
韓子說疑篇 孽有擬適之子하고 配有擬妻之妾하고 廷有擬相之臣하고 臣有擬主之寵하니 此四者 國之所危也라하니 意與管子同이라
天下之道 一而已矣 有與之相敵者 是爲兩이요 有與之相亂者 是爲疑
兩焉疑焉하면 惑從此起 故曰 兩疑則惑矣라하니라 如楊注 則疑卽惑也 於義複矣 一本則不得其解而誤其文也


〈생각을〉 잘 다스리면 正道로 돌아올 수 있으나 〈편견과 큰 도리의 위상이〉 兩立하고 대등하면 의혹이 생기는 법이다.
楊倞注:세상을 다스릴 적에 禮義를 사용하면 저절로 일반적인 正道로 돌아올 수 있다는 것을 말한다. 兩疑는 마음이 正道에 전일할 줄을 몰라 의심스럽고 한쪽에 가려진 것을 곧장 옳다고 여기는 것을 이른다. 어떤 판본에는 ‘兩則疑惑矣’로 되어 있다.
兪樾은 ‘兩政’의 과 같은 글자로 읽어야 한다. ≪春秋左氏傳桓公 18년에 “竝后匹嫡兩政耦國(〈첩에 대한 총애가〉 왕후와 같고, 〈서자의 지위가〉 嫡子와 동등하고, 국정의 권한이 둘로 분산되고, 〈邑城의 규모가〉 도성과 대등한 것은 〈국가를 혼란하게 만드는 근본이다.〉)”이라 하였으니, 이 은 ‘’‧‘’와 뜻이 같다. 는 ‘疑妻’‧‘疑適’의 와 같은 글자로 읽어야 한다.
管子≫ 〈君臣篇〉에 “內有疑妻之妾 此宮亂也 庶有疑適之子 此家亂也 朝有疑相之臣 此國亂也(궁궐 안에 본처와 지위가 동등한 애첩이 있으면 이는 궁궐의 禍亂이고, 서자 중에 嫡子와 지위가 동등한 아들이 있으면 이는 가정의 禍亂이고, 조정에 재상과 권세가 동등한 신하가 있으면 이는 국가의 禍亂이다.)”라 하였다. 이 글자가 또 ‘’로 되어 있기도 하다.
韓非子≫ 〈說疑篇〉에 “孽有擬適之子 配有擬妻之妾 廷有擬相之臣 臣有擬主之寵 此四者 國之所危也(서자 중에 嫡子와 지위가 동등한 아들이 있고, 배우자 중에 본처와 지위가 동등한 애첩이 있고, 조정에 재상과 권세가 동등한 신하가 있고, 신하 중에 군주와 위상이 동등한 寵臣이 있을 수 있으니, 이 네 가지는 국가를 위험에 빠뜨리는 근원이다.)”라 하였으니, 그 뜻이 ≪管子≫와 같다.
천하의 正道는 하나일 뿐이다. 그런데 어떤 다른 것과 서로 견줄 만한 것이 있다면 이는 둘[]이 되고, 어떤 다른 것과 서로 혼란스러운 것이 있다면 이는 의심[]이 된다.
두 가지가 있고 의심을 하게 되면 의혹[]이 이로부터 일어나기 때문에 ‘兩疑則惑矣’라고 말한 것이다. 楊氏의 주대로라면 ‘’가 곧 ‘’이니, 뜻이 중복된다. 어떤 판본에 〈‘兩則疑惑矣’로 되어 있는 이유는〉 그 뜻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여 그 글자의 순서를 그르쳐 바꾼 것이다.


역주
역주1 竝后匹嫡兩政耦國 : ≪春秋左氏傳≫에 ‘內寵並后 外寵二政 嬖子配適 大都耦國 亂之本也’로 되어 있는 것을 축약하고 변형한 것이다.
역주2 : 일반적으로 글을 교정할 때 위아래의 순서를 바꾼다는 뜻으로 사용하는 기호의 하나이다. 여기서는 단순히 위아래 글자가 바뀌었다는 뜻이다.

순자집해(5) 책은 2020.12.29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