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荀子集解(4)

순자집해(4)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순자집해(4)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致士篇 第十四
明致賢士之義
14-1 衡聽顯幽重明退姦進良之術이라
平也 謂不偏聽也 顯幽 謂使幽人明顯하여 不雍蔽也
重明 謂旣明하되 又使明也 書曰 德明惟明이라하니라 能顯幽則重明矣 能退姦則良進矣
○兪樾曰 按楊注 平也라하고 下文衡至 注曰 衡 讀爲橫이라하여 前後兩字異訓하니 失之
衡聽之衡 亦當讀爲橫이니 蓋彼以衡至 故亦以衡聽也 古橫衡同字 詩衡門篇 釋文曰 衡 古文橫字라하니 是其證也
漢書王莽傳 昔帝堯橫被四表라하고 라하니
是橫廣音近義通이라 流言之屬 一時而竝至 故曰橫至라하니 猶曰大至矣
先謙案 重明 猶書堯典之明明이라 此言用人之術이라


제14편 현사賢士를 불러들이는 방법
는 뜻과 품행이 고결하고 재능이 뛰어난 현사賢士를 가리킨다. 군주에 대해 ‘현사賢士를 존중하고 재능이 있는 사람을 부려야 한다.[상현사능尙賢使能]’는 원칙 아래 다른 사람의 의견을 공정하게 청취하고, 숨은 인재를 발굴하고, 명철한 사람을 귀중하게 여기고, 사악한 사람을 물리치고, 현량賢良한 사람을 임용하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아울러 인재를 얻기 위해서는 반드시 예의禮義를 강구하고 인재를 존중하여 임용하되, 말과 행동이 상반되지 않아야 한다고 하였다. 그리고 지금 군주 가운데 능히 자기의 미덕美德을 드러내 밝힌 사람이 있다면 천하 사람이 그에게 돌아오는 것이 마치 매미가 밝은 등불을 보고 돌아오는 것과 같을 것이라고 하였다.
양경주楊倞注현사賢士를 불러들이는 취지를 밝혔다.
다른 사람의 의견을 널리 청취하고, 숨은 현사賢士를 세상에 드러내고, 이미 드러난 현사賢士를 더 높이 드러내고, 사악한 사람을 물리치고, 현량賢良한 사람을 임용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양경주楊倞注은 ‘’의 뜻이니, 한쪽 의견만 듣지 않는 것을 이른다. 현유顯幽는 숨은 사람을 드러내 막히거나 가려져 있지 않게 하는 것을 이른다.
중명重明은 이미 세상에 드러났는데 또 더 드러나게 하는 것을 이르니, ≪서경書經≫ 〈여형呂刑〉에 “덕명유명德明惟明(덕이 밝은 자에 대해서는 더 드러나게 하였다.)”이라 하였다. 능히 숨은 현인賢人을 드러냈으니 더 드러나게 할 수도 있고, 능히 사악한 사람을 물리쳤으니 현량賢良한 사람을 임용할 수도 있다는 것이다.
유월兪樾:살펴보건대, 양씨楊氏에 “은 ‘’의 뜻이다.”라 하고, 아래 글(14-5) ‘형지衡至’에서는 에 “은 ‘’으로 읽어야 한다.”라고 하여 앞뒤 두 자의 뜻을 다르게 풀이하였으니, 이는 잘못되었다.
횡청衡聽’의 ‘’도 마땅히 ‘’으로 읽어야 하니, 저쪽에서 ‘형지衡至’라 하였기 때문에 여기서 또 ‘횡청衡聽’이라 했을 것이다. 옛날에 ‘’과 ‘’은 같은 글자였다. ≪시경詩經≫ 〈형문편衡門篇〉의 ≪경전석문經典釋文≫에 “고문古文의 ‘’자이다.”라고 하였으니, 이것이 그 증거이다.
한서漢書≫ 〈왕망전王莽傳〉에 “석제요횡피사표昔帝堯橫被四表(옛날 임금의 명성과 위엄이 널리 사방을 덮었다.)”라 하고, ≪삼국지三國志≫ 〈위서魏書 문제기文帝紀〉에 〈헌제전獻帝傳〉을 인용하여 “광피사표廣被四表(널리 사방을 덮었다.)”라고 하였으니,
이로 볼 때 ‘’과 ‘’은 발음이 비슷하여 뜻이 서로 통했던 것이다. 근거 없는 말들이 일시에 모두 들어오기 때문에 ‘횡지橫至’라고 말한 것이니, 이는 ‘대지大至’라는 말과 같다.
선겸안先謙案중명重明은 ≪서경書經≫ 〈요전堯典〉의 ‘명명明明(이미 드러난 사람을 더 드러낸다.)’과 같다. 이는 인재를 임용하는 방법을 말한 것이다.


역주
역주1 魏志文帝紀……廣被四表 : ≪三國志≫ 〈魏書 文帝紀〉의 裴松之 주에 인용되어 있다.

순자집해(4) 책은 2022.08.31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