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荀子集解(5)

순자집해(5)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순자집해(5)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22-43 然而徵知 必將待然後可也
天官 耳目也 主也 丁浪反이라 簿 簿書也 當簿 謂如各主當其簿書하여 不雜亂也
謂可聞之物 耳之類 可見之物 目之類
言心雖能(召)[占]所知라도 必將任使耳目하여 令各主掌其類 然後可也 言心亦不能自主之也
○兪樾曰 楊注曰 天官 耳目也라하니 疑此文及注竝有奪誤
上文云 然則何緣而以同異 曰 緣天官이라하고 注曰 天官 耳目鼻口心體也라하니
是天官本兼此六者而言이어늘 此何以獨言耳目乎 疑天官 乃五官之誤
上云 心有徵知라하니 此當云 然而徵知 必將待五官之當簿其類라하고
注當云 五官 耳目鼻口體也 所以不數心者 徵知卽心也
下文云 五官簿之而不知하고 心徵之而無說 卽承此文而言이니 可知天官爲五官之譌
因五官譌爲天官하여 而注又有闕文하여 遂不可讀이라


그러나 징험하여 아는 것은 반드시 天官이 각기 같은 종류의 사물을 접촉한 다음에야 가능하다.
楊倞注天官은 귀와 눈이다. 은 주관한다는 뜻이니, 〈그 음이〉 의 반절이다. 簿는 장부이다. 當簿는 〈임무를 맡은 사람이〉 저마다 그 장부를 주관하여 난잡하지 않고 〈질서가 있는 것과〉 같은 것을 이른다.
는 들을 수 있는 사물은 귀의 종류이고 볼 수 있는 사물은 눈의 종류라는 것을 이른다.
마음이 비록 징험하여 알 수 있는 능력이 있다고 하더라도 반드시 귀와 눈의 기능을 부려 각기 그 종류를 주관하도록 하여야 하니, 그런 다음에 〈비로소 소리와 형상에 관해 알 수〉 있다는 것을 말한다. 이는 마음이라도 스스로 주관할 수 없다는 것을 말한다.
兪樾楊氏의 주에 “天官은 귀와 눈이다.”라고 하였는데, 아마도 이곳의 본문과 〈楊氏의〉 주는 모두 빠졌거나 잘못된 부분이 있는 것 같다.
윗글(22-32,33)에 “然則何緣而以同異 緣天官(그렇다면 무엇 때문에 사물의 명칭이 같은 것이 있고 다른 것이 있는가? 그것은 天官에 의해서이다.)”이라 하고 〈楊氏의〉 주에 “天官 耳目鼻口心體也(天官은 귀, 눈, 코, 입, 마음, 형체이다.)”라고 하였으니,
天官은 본디 이 여섯 가지를 겸해 말한 것인데 여기서 어찌 귀와 눈만 말하겠는가. 아마도 ‘天官’은 곧 ‘五官’의 잘못인 듯하다.
위(22-41)에서 “心有徵知(마음은 만물을 징험하여 알 수 있다.)”라 하였으니, 여기서는 마땅히 “然而徵知 必將待五官之當簿其類(그러나 징험하여 아는 것은 반드시 五官이 각기 같은 종류의 사물을 접촉하기를 기다려야 한다.)”라 하고,
楊氏의〉 주는 마땅히 “五官 耳目鼻口體也(五官은 귀, 눈, 코, 입, 형체이다.)”라고 해야 한다. ‘’을 말하지 않는 이유는 징험하여 아는 것이 곧 마음이기 때문이다.
아랫글에 “五官簿之而不知 心徵之而無說(五官이 사물을 접촉하더라도 인지하지 못하고 마음이 사물을 징험하더라도 설명하지 못한다.)”이라고 한 것은 곧 이 글을 이어받아 말한 것이니, ‘天官’은 ‘五官’의 잘못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五官’이 ‘天官’으로 잘못됨으로 인해 〈楊氏의〉 주에도 빠진 글이 있게 됨으로써 마침내 읽을 수 없게 되었다.


역주
역주1 天官之當簿其類 : 當은 부딪친다는 뜻이고, 簿(박)은 ‘薄’, ‘迫’과 통하는 글자로 접촉한다는 뜻이다. 類는 같은 종류의 사물이고, 其類는 天官이 각기 느끼는 같은 종류의 사물을 가리킨다. 예를 들면 귀가 알아차릴 수 있는 것은 소리 종류이고 눈이 알아차릴 수 있는 것은 형상과 색깔 종류인 것과 같은 것이다.

순자집해(5) 책은 2020.12.29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