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荀子集解(6)

순자집해(6)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순자집해(6)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27-244 塞而避所短인댄 移而從所이라 疏知而不法하며而操하며 勇果而亡禮 君子之所憎惡也
掩也 就也 與事同하니 所能也 言掩其不善하고 務其所能也 通也
察辨而操辟 謂聰察其辨이라도 所操之事邪僻也 七刀反이라
○俞樾曰 仕 疑任字之誤 莊子秋水篇 任士之所勞 釋文引李注曰 任 能也라하니
然則移而從所任者 移而從所能也 於義較捷矣


대체로 나의 단점을 덮어 회피하기 위해서는 방향을 바꿔 자기가 잘하는 쪽으로 따라가야 한다. 사리에 통달하고 지혜롭더라도 법도를 지키지 않으며, 통찰력이 있고 논변을 잘하더라도 행위가 바르지 않으며, 용감하고 과단성이 있더라도 예의禮義를 잃어버리는 것은 군자君子가 증오하는 일이다.
양경주楊倞注은 덮는다는 뜻이다. 는 나아간다는 뜻이다. 는 ‘’와 같으니, 는 잘하는 일이다. 자기가 잘하지 못하는 것을 덮고 자기가 잘하는 일에 힘쓴다는 말이다. 는 통달한다는 뜻이다.
찰변이조벽察辨而操辟은 그 가려내야 할 것을 잘 살피더라도 행하는 일이 바르지 않은 것을 이른다. 는 〈음이〉 의 반절이다.
유월俞樾:‘’는 아마도 ‘’자의 잘못일 것이다. ≪장자莊子≫ 〈추수편秋水篇〉에 “임사지소로任士之所勞(현능賢能한 선비가 애써 수고하는 것)”라 한 곳의 ≪경전석문經典釋文≫에 이씨李氏의 주를 인용하여 “은 ‘’의 뜻이다.”라고 하였으니,
그렇다면 이이종소임移而從所任은 ‘이이종소능移而從所能(방향을 바꿔 자기가 잘하는 쪽으로 따라가야 한다.)’으로 이해하는 것이 뜻으로 볼 때 비교적 더 우세하다.


역주
역주1 : 여기서는 助辭인 ‘夫’와 같은 것으로 보인다.
역주2 (仕)[任] : 저본에는 ‘仕’로 되어 있으나, 兪樾의 주에 의거하여 ‘任’으로 바로잡았다.
역주3 : ‘辯’과 통한다.
역주4 : ‘僻’과 통한다.

순자집해(6) 책은 2022.01.20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