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荀子集解(2)

순자집해(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순자집해(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9-55 諸侯莫不하여 而不忘其敵이라가
交接 連結也 旣以力勝而不義 故諸侯皆欲相連結怨國하여 而不忘與之爲敵이라 本多作壞交接하니 言壞其與己交接之道也
○郝懿行曰 接者 續也 懷交 謂私相締交 接怨 謂連續修怨이라 注非是
王念孫曰 諸侯莫不懷交接爲句 壞懷古字通注+禮論篇 諸侯不敢壞 史記 作懷하고 襄十四年左傳 王室之不壞 釋文 服本作懷라하니라이라 楊後說以壞交接連讀 是也 前說以懷交接怨連讀 失之
兪樾曰 楊注二說皆未安이라 王氏謂當從後說非也 疑怨字當在交接二字之上이니 本作諸侯莫不懷怨交接而不忘其敵이라
懷怨交接 猶云 故不忘其敵이라 傳寫奪怨字하여 而誤補之接字之下耳
先謙案 郝說是也


제후들이 모두 우호적인 나라는 감싸고 원망이 있던 나라와 접촉하면서 그 〈공동의〉 적을 잊지 않고 있다가
양경주楊倞注교접交接은 친교를 맺는다는 뜻이다. 〈강국이〉 이미 힘으로 이겨 의롭지 않았기 때문에 제후들이 모두 평소에 원망이 있던 나라들과 친교를 맺어 그들과 함께 〈공동의〉 적에 맞설 것을 잊지 않는다는 것이다. 본디 ‘괴교접壞交接’으로 되어 있는 판본이 많은데, 이럴 경우는 자기와 교제하는 길을 무너뜨리는 것을 말한다.
학의행郝懿行이란 ‘(잇다)’자의 뜻이다. 회교懷交는 사적으로 서로 교제하는 것을 이르고, 접원接怨은 오래된 원망이 계속되는 것을 이른다. 양씨楊氏의 주는 옳지 않다.
왕염손王念孫:‘제후막불회교접諸侯莫不懷交接’이 한 구가 된다. ‘’와 ‘’는 옛 글자에 통용되었다.注+순자荀子≫ 〈예론편禮論篇〉의 ‘제후불감회諸侯不敢壞’의 〈‘’자가〉 ≪사기史記≫ 〈예서禮書〉에 ‘’로 되어 있고, ≪춘추좌씨전春秋左氏傳양공襄公 14년 ‘왕실지불괴王室之不壞’의 〈‘’자가〉 ≪경전석문經典釋文≫에 “복건본服虔本에 ‘’로 되어 있다.”라고 하였다.괴교접壞交接’으로 이어서 읽은 양씨楊氏의 뒤 설이 옳고, ‘회교접원懷交接怨’으로 이어서 읽은 앞 설은 틀렸다.
유월兪樾양씨 주楊氏 注의 두 설은 모두 온당치 못하다. 왕씨王氏가 마땅히 뒤 설을 따라야 한다고 한 것도 틀렸다. 아마도 ‘’자는 마땅히 ‘교접交接’ 두 자의 위에 놓여 있어야 하니, 본디 ‘제후막불회원교접이불망기적諸侯莫不懷怨交接而不忘其敵’으로 되어 있었을 것이다.
회원교접懷怨交接’은 원망을 숨기고서 그 사람을 사귄다는 말과 같기 때문에 그 적을 잊지 않는 것이다. 옮겨 쓰는 과정에 ‘’를 빠뜨렸고 이것을 ‘’자 밑에 잘못 끼워 넣은 것일 뿐이다.
선겸안先謙案학씨郝氏의 설이 옳다.


역주
역주1 懷交接怨 : 鍾泰의 설에 의하면, 평소에 우호적인 관계인 나라는 감싸고 원망이 있던 나라는 접촉한다는 뜻이라 하면서 원망하면서도 접촉하는 것은 큰 적이 앞에 있기 때문이라고 하였다. 이에 대해 駱瑞鶴과 王天海 등이 동의하였다. 鍾泰의 설에 따라 번역하였다.
역주2 匿怨而友其人 : ≪論語≫ 〈公冶長〉에 나오는 말이다.
역주3 (樂)[禮] : 저본에는 ‘樂’으로 되어 있으나, ≪史記≫에 의거하여 ‘禮’로 바로잡았다.

순자집해(2) 책은 2023.12.18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