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荀子集解(4)

순자집해(4)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순자집해(4)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18-44 故至賢疇四海하니 湯武是也 至罷不能容妻子하니 桀紂是也
疇四海 謂以四海爲疇域이라 或曰 疇與籌同하니 謂計度也라하니라
○盧文弨曰 古以疇爲儔하니 楊注未是
郝懿行曰 疇者 匹也 罷者 病也 言不能任事也
齊語云 罷士無伍하며 罷女無家라하고 又云 人與人相疇하며 家與家相疇라하니라
兪樾曰 疇者 保也 國語楚語 臣能自壽也 韋注 保也라하고
晏子雜篇 賴君之賜하여 得以壽三族 壽三族 卽保三族也
管子霸言篇 國在危亡而能壽者 明聖也 能壽 卽能保也 此文作疇者 古字通耳
說文土部 保也라하니라 凡作疇作壽 皆壔之叚字


그러므로 지극히 현능한 사람은 천하를 보전할 수 있으니 탕왕湯王무왕武王이 그 경우이고, 지극히 무능한 사람은 처자식도 포용하지 못하니 걸왕桀王주왕紂王이 그 경우이다.
양경주楊倞注주사해疇四海사해四海로 영역을 삼는 것을 이른다. 혹자는 “는 ‘’와 같으니, 헤아리는 것을 이른다.”라고 하였다.
노문초盧文弨:옛날에는 를 ‘’로 사용하였으니, 양씨楊氏의 주는 옳지 않다.
학의행郝懿行는 짝한다는 뜻이다. 는 병이 들었다는 뜻이니, 정사를 책임지지 못하는 것을 말한다.
국어國語≫ 〈제어齊語〉에 “罷士無伍 罷女無家(병든 병사는 대오를 함께할 사람이 없으며 병든 여인은 시집오기를 원하는 사람이 없다.)”라 하고, 또 “인여인상주人與人相疇 가여가상수家與家相疇(사람과 사람끼리 서로 어울리며 집안과 집안끼리 서로 어울린다.)”라 하였다.
유월兪樾는 보전한다는 듯이다. ≪국어國語≫ 〈초어楚語〉에 “신능자수야臣能自壽也(신은 스스로 보전할 수 있습니다.)”의 위소韋昭 주에 “는 보전한다는 뜻이다.”라 하고,
안자춘추晏子春秋≫ 〈잡편雜篇〉에 “賴君之賜 득이수삼족得以壽三族(군왕의 은혜를 힘입어 삼족三族을 보전할 수 있습니다.)”이라고 한 곳의 ‘수삼족壽三族’은 곧 삼족三族을 보전한다는 뜻이다.
관자管子≫ 〈패언편霸言篇〉에 “국재위망이능수자國在危亡而能壽者 명성야明聖也(국가가 위급한 상황에 처해 있는데도 보전되게 할 수 있는 사람은 명철하고 슬기롭다.)”의 ‘능수能壽’는 곧 능히 보전한다는 뜻이다. 이 글에 ‘’로 되어 있는 것은 옛 글자에서 〈자와〉 통용한 것일 뿐이다.
설문해자說文解字≫ 〈토부土部〉에 “는 보전한다는 뜻이다.”라 하였다. 일반적으로 ‘’로 되어 있거나 ‘’로 되어 있는 것은 모두 ‘’의 가차자假借字이다.



순자집해(4) 책은 2022.08.31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