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荀子集解(1)

순자집해(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순자집해(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5-13 葉公子高入據楚하고 誅白公하여 定楚國 如反手爾하여 하니라
○ 王引之曰 善字文義不明하니 疑著字之譌
隸書著字或作着하니 形與善相似注+史記五帝紀 帝摯立不善 索隱古本作不著
俞樾曰 善 乃蓋字之誤
隸書蓋字或作盖하니 見北海相景君銘하고 善字或作𠲘하니 見張遷碑
兩形相似而誤
5-14 故不揣長하고 不揳大하며 不權輕重하고 亦將志乎爾
與絜同이니 約也
謂約計其大小也
戶結反이라
莊子 匠石見櫟社樹하고 絜之百圍라하니라
稱也
輕重 體之輕重也
言不論形狀長短大小肥瘠하고 唯在志意修飭耳
○ 盧文弨曰 案注以志意二字訓志字하니 增一字成文耳
宋本作亦將志乎心爾하니 心字衍이라
先謙案 廣雅釋言 且也라하니 此承上文하여 言古之聞人不以相論이라 故事不揣絜長大輕重하니 亦且有志於彼數聖賢也
楊注非


섭공葉公 자고子高는 진입하여 나라 도성을 점령하고 백공白公을 죽여 나라를 평정하기를 마치 손바닥을 뒤집듯이 쉽게 함으로써 그의 인의仁義공명功名이 후세에까지 칭송을 받고 있다.
왕인지王引之 : ‘’자는 글 뜻이 분명치 않으니, 아마도 ‘’자의 오자인 듯하다.
예서隷書에 ‘’자를 혹 ‘’으로 쓰기도 하니, 그 모양이 ‘’과 서로 비슷하다.注+사기史記》 〈오제기五帝紀〉의 ‘제지립불선帝摯立不善’이 《사기색은史記索隱》의 옛 판본에는 ‘불착不著’로 되어 있다.
俞樾 : ‘’은 곧 ‘’자의 오자이다.
예서隷書에 ‘’자를 혹 ‘’로 쓰기도 하니 〈북해상경군명北海相景君銘〉에 보이고, ‘’자를 혹 ‘’으로 쓰기도 하니 〈장천비張遷碑〉에 보인다.
두 글자의 모양이 서로 비슷하여 잘못된 것이다.
盖(北海相景君銘)盖(北海相景君銘)
(張遷碑)(張遷碑)
그러므로 인물을 살펴볼 때는 신장身長을 헤아리지 않고 몸집의 크기도 따지지 않으며 몸무게도 가늠하지 않고 그저 그의 심지心志만 보면 그만인 것이니,
양경주楊倞注 : ‘’은 ‘(헤아리다)’과 같으니, 어림잡는다는 뜻이다.
몸집의 크기를 대강 짐작으로 헤아려보는 것을 이른다.
’의 음은 반절反切이다.
장자莊子》 〈인간세人間世〉에 “장석견력사수匠石見櫟社樹 혈지백위絜之百圍(匠石이 토지의 신으로 모시는 갈참나무를 보고 그 둘레를 어림짐작해보니 백 아름이나 되었다.)”라고 하였다.
’은 저울에 단다는 뜻이다.
경중輕重’은 몸의 무게이다.
〈인물을 볼 때〉 키의 장단이나 몸집의 크기, 뚱뚱하거나 말랐거나 하는 등의 외형을 논할 것은 없고, 주시할 점은 오직 그의 심지心志가 잘 수양되었는지 여부에만 있다는 것을 말한 것이다.
노문초盧文弨 : 살펴보건대, 양씨楊氏의 주는 ‘지의志意’ 두 자로 ‘’자의 뜻을 풀이하였으니, 한 글자를 더 보태 글을 만들었을 뿐이다.
송본宋本에는 ‘역장지호심이亦將志乎心爾’로 되어 있으니, ‘’자가 잘못 덧붙여졌다.
선겸안先謙案 : 《광아廣雅》 〈석언釋言〉에 “‘’은 ‘(또)’자의 뜻이다.”라고 하였으니, 이 글은 윗글에 이어, 옛날 이름난 사람을 보면 그의 생김새를 가지고 논하지 않았으므로, 〈후대에서 인물을 살펴볼 때도〉 키와 몸집, 몸무게 등을 헤아리지 말고 그저 저 옛날 여러 성현들을 〈본받으려는〉 뜻이 있느냐에 대해서만 보면 된다는 것을 말한 것이다.
양씨楊氏의 주는 틀렸다.


역주
역주1 仁義功名善於後世 : ‘善’에 대해 王引之는 ‘著(드러나다)’의 오자일 것이라 하고, 俞樾은 ‘蓋(덮다)’의 오자라고 하여 의문을 제기하였으나, 潘重規는 “仁義와 功名이 후세에 좋은 평가를 받는 것을 말한 것이다.”라고 하여, ‘善’자에 의문의 여지가 없는 것으로 간주하였다. 潘重規의 설이 우세한 것으로 보인다.
역주2 : 蔣南華‧張覺‧王天海 등은 모두 ‘士’의 오자로 간주하였다. 그 견해를 인정하여 그에 따라 번역하였다.

순자집해(1) 책은 2024.01.0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50 서울시 종로구 삼봉로81, 1332호(두산위브파빌리온)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