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荀子集解(1)

순자집해(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순자집해(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3-87 若端拜而議니라
이니 朝服也
端拜 猶言이라
言君子審後王所宜施行之道하고 而以百王之前比之 若服玄端하여 拜揖而議 言其從容不勞也
時人多言後世澆醨하여 難以爲治 故荀明之
○ 郝懿行曰 端疑之端이니 端者 正也
謂正容拜議 非必衣玄端也
注言端拱이라하고 又言玄端이라하여 二義似歧
王念孫曰 古無拜而議事之禮하고 且端拜二字 義不相屬이라
拜當爲𢪙이니 𢪙 今拱字也注+說文 𠬞 竦手也 從𠂈從又라하니라 揚雄說 廾從兩手라하고 斂手也 從手하고 共聲이라하니라 今經傳皆作拱이라
形與拜相似하여 因訛爲拜
端拱而議 即楊注所云從容不勞也
楊云 端拜 猶言端拱 近之 乃又云拜揖而議라하니 則未知𢪙爲拜之譌耳
先謙案 王說是


군자는 후대 왕이 나라를 다스리는 방법을 살피고 역대 왕들의 이전 방법과 비교하는 것이, 마치 단정히 앉아 팔짱을 끼고 논의하는 것처럼 여유롭다.
양경주楊倞注 : ‘’은 현단玄端이니 관복官服이다.
단배端拜’는 단정히 앉아 두 손을 맞잡고 있다는 말과 같다.
군자가 후대 왕이 마땅히 시행해야 할 통치방법을 살피고 역대 왕들의 이전 사례와 비교하는 것이, 마치 현단玄端을 차려입고서 절하고 읍하며 논의하는 것과 같다는 것을 말한 것으로, 여유로워 수고롭지 않다는 것을 의미한다.
당시 사람들이, 후세의 기풍이 경박하여 이상적으로 통치하기 어렵다고 흔히 말하기 때문에 순자荀子가 〈그렇지 않다는 것을〉 밝혔다.
학의행郝懿行 : ‘’은 아마도 ‘진서단서振書端書’의 ‘’으로 보이니 ‘’이란 ‘’자의 뜻이다.
의용을 바로잡아 절하고 논의하는 것을 말한 것이지 반드시 현단玄端을 입는다는 것은 아니다.
주에 ‘단공端拱’이라 말하고 이어 또 ‘현단玄端’이라 말하여 이 두 뜻이 서로 어긋난 것 같다.
왕염손王念孫 : 옛날에 절하면서 국사를 논의하는 예법은 없고, 또 ‘단배端拜’ 두 글자는 뜻이 서로 연결되지 않는다.
’는 마땅히 ‘𢪙’자가 되어야 하니 ‘𢪙’은 지금의 ‘’자이다.注+설문해자說文解字》에 “‘𠬞’는 손을 맞잡는다는 뜻이니, ‘𠂈’과 ‘’가 붙은 글자이다.”라고 하였다. ‘𢪙’은 양웅揚雄이 말하기를 “‘’에 두 ‘’자가 붙은 글자이다.”라고 하고, “‘’은 손을 모은다는 뜻이니, 형부形符가 되고 성부聲符가 된다.”라고 하였다. 지금의 경전經傳에는 모두 ‘’으로 되어 있다.
모양이 ‘’와 비슷하여 ‘’로 잘못된 것이다.
단공이의端拱而議’는 곧 양씨楊氏 주의 이른바 ‘여유로워 수고롭지 않다.[從容不勞]’는 뜻이다.
양씨楊氏가 “‘단배端拜’는 ‘단공端拱’이란 말과 같다.”라 한 것은 일리가 있는데, 또 “절하고 읍을 하며 논의하는 것과 같다.”라고 하였으니, ‘’가 ‘𢪙’의 잘못된 글자임을 몰랐던 것이다.
선겸안先謙案 : 왕씨王氏의 설이 옳다.


역주
역주1 君子審後王之道而論百王之前 : ‘後王之道’는 荀子가 처한 당시인 周나라 천자의 도로서 文王‧武王이 시행한 법도를 뜻하고, ‘百王之前’은 周나라 이전 시기의 성군들 곧 夏禹‧商湯 등을 말한다. ‘論’은 倫과 통용되는 글자로, 비교한다는 뜻이다.
역주2 玄端 : 고대의 검은색 예복이다. 제사 때 천자‧제후‧사대부들이 모두 입는다. 천자는 평소에도 입는다.
역주3 端拱 : ‘端坐拱手’의 줄임말로, 단정히 앉아 두 손을 맞잡고 있다는 뜻이다.
역주4 振書端書 : 《禮記》 〈曲禮 下〉의 “군주 앞에서 책의 먼지를 털거나 책의 위치를 바로잡아놓는 경우에는 벌을 받는다.[振書端書於君前 有誅]”에서 나온 말이다.

순자집해(1) 책은 2024.01.0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