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荀子集解(2)

순자집해(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순자집해(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9-221 我今將脩飾之하고 拊循之하며 掩蓋之於府庫 貨財粟米者 彼將日日棲遲辥越之中野 我今將畜積幷聚之於倉廩이라
材伎股肱健勇爪牙之士 彼將日日挫頓竭之於仇敵이나 我今將來致之하고閱之하여 砥礪之於朝廷이라
如是 則彼日積敝하고 我日積完하며 彼日積貧하고 我日積富하며 彼日積勞하고 我日積佚이라
君臣上下之間者 彼將厲厲焉日日相離疾也하며 我今將頓頓焉日日相親愛也
○先謙案 라하니 重言之曰厲厲라하니라
讀曰敦이라 詩頓丘 爾雅釋丘作敦丘하니 是其證이라
禮樂記 敦樂而無憂 厚也라하니 重言之曰敦敦이라하니라 頓頓 猶敦敦이니 相親厚之意也


우리는 지금 정비하고 쓰다듬으며 무기고에 소중히 간직한다. 재물과 양식 등을 저쪽은 연일 들판에 버리고 낭비하지만 우리는 지금 축적하여 창고 안에 모아둔다.
재능과 기예를 지닌 대신大臣과 건장하고 용감한 무사武士를 저쪽은 연일 적에 의해 타격을 받게 하지만 우리는 지금 그들을 초치하고 그들을 뽑아 등용하여 조정에서 〈그 기량을〉 갈고닦는다.
이렇게 되면 저쪽은 날로 더욱 피폐해지고 우리는 날로 더욱 완전해지며, 저쪽은 날로 더욱 빈곤해지고 우리는 날로 더욱 부유해지며, 저쪽은 날로 더욱 고생하고 우리는 날로 더욱 편안해진다.
군신 상하의 관계는 저쪽은 매정하게 서로 연일 멀리하고 미워하며 우리는 지금 다정하게 서로 연일 친애한다.
선겸안先謙案:≪장자莊子≫ 〈인간세人間世〉의 ≪경전석문經典釋文≫에 “는 ‘(미워하다)’의 뜻이다.”라고 하였는데, 이것을 거듭 말하여 어려厲厲라 한 것이다.
은 ‘’으로 읽어야 한다. ≪시경詩經≫의 ‘돈구頓丘’가 ≪이아爾雅≫ 〈석구釋丘〉에는 ‘돈구敦丘’로 되어 있으니, 이것이 그 증거이다.
예기禮記≫ 〈악기樂記〉에 “돈악이무우敦樂而無憂(음악에 치중하되 근심하는 일이 없다.)”라고 한 곳의 주에 “은 ‘’의 뜻이다.”라고 하였는데, 이것을 거듭 말하여 돈돈敦敦이라 한 것이다. 돈돈頓頓은 ‘돈돈敦敦’과 같으니, 서로 친애하고 후대하는 뜻이다.


역주
역주1 (幷)[簡] : 저본에는 ‘幷’으로 되어 있으나, 朱起鳳의 설에 의거하여 ‘簡’으로 바로잡았다. 朱起鳳이 ‘簡’자의 초서 모양이 ‘幷’과 비슷하여 생긴 오류일 것이라고 하였고, 王天海도 이에 동의하였다.
역주2 莊子人間世釋文 厲疾也 : 釋文은 唐나라 陸德明이 편찬한 ≪經典釋文≫의 약칭이다. 그러나 그 내용에는 ‘厲 疾也’가 없다. 王先謙이 전거를 잘못 인용한 것으로 보인다.

순자집해(2) 책은 2023.12.18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