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荀子集解(3)

순자집해(3)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순자집해(3)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12-6 上好曲私하면 則臣下百吏 乘是而後偏하리라 所以爲平也로되 上好傾覆하면 則臣下百吏 乘是而後險하리라
所以爲嘖也로되
○盧文弨曰 斗 元刻作勝이라 案三輔黃圖 御宿園出하니 十五枚一勝이요 大棃如五勝이라하니 勝與升通用이라
敦槩 卽準槩 情也 易繫辭傳 見天下之賾 京房作嘖하고
太玄 初一 黃純于潛 化在嘖也라하니 皆訓情이라 此當作情實解
郝懿行曰 斗斛 或作勝斛이라 勝與升 雖同音假借 然作斗斛爲長이라
卽杚也 所以平斗斛者 敦亦其類어니와 但形狀今未聞이라


군주가 〈정실에 얽매어〉 사심 부리기를 좋아한다면 대신과 각급 관리들이 이것을 이용하여 한쪽으로 치우치게 일을 처리할 것이다. 무게를 재고 저울질하는 것은 〈무게의 기준을〉 공정하게 하기 위한 것이지만 군주가 〈시비是非를〉 전도하길 좋아한다면 대신과 각급 관리들이 이것을 이용하여 사악한 짓을 할 것이다.
왼쪽부터 두斗, 곡斛, 개槩(≪삼재도회三才圖會≫) 대敦(≪대만국립고궁박물원臺灣國立故宮博物院≫)왼쪽부터 두斗, 곡斛, 개槩(≪삼재도회三才圖會≫) 대敦(≪대만국립고궁박물원臺灣國立故宮博物院≫)
말과 휘, 와 평미레는 〈분량을〉 표준화하기 위한 것이지만
노문초盧文弨원각본元刻本에 ‘’으로 되어 있다. 살펴보건대, ≪삼보황도三輔黃圖≫에 “어숙원출률 십오매일승 대리여오승御宿園出栗 十五枚一勝 大棃如五勝(어숙원御宿園에서 밤이 나오니 열다섯 개가 한 되이고, 큰 배는 〈크기가〉 다섯 되와 같다.)”이라고 하였으니, ‘’과 ‘’은 통용한다.
대개敦槩는 곧 평미레이다. 은 ‘’의 뜻이다. ≪역경易經≫ 〈계사전繫辭傳〉 “견천하지색見天下之賾(천하 사물이 복잡한 것을 보다.)”의 〈을〉 경방京房이 ‘’으로 표기하였고,
태현경太玄經≫ 〈〉 ‘초일初一’의 측사測辭에 “황순우잠 화재책야黃純于潛 化在嘖也(의 기운이 지하에 숨어 있다는 것은 만물이 생성하는 근원이 중심에 있다는 뜻이다.)”라 하였으니, 〈그 은〉 모두 ‘’의 뜻이다. 그러니 여기서도 마땅히 ‘정실情實(중심)’로 간주해 풀이하여야 한다.
학의행郝懿行:‘두곡斗斛’은 간혹 ‘승곡勝斛’으로 되어 있기도 하다. ‘’과 ‘’은 비록 음이 같아 가차假借하기도 하지만 ‘두곡斗斛’으로 하는 것이 더 낫다.
는 곧 평미레이니, 〈곡물이 담긴〉 말과 휘의 윗부분을 고르게 밀어내는 물건이다. 또한 그와 비슷한 물건이나 그 형태에 관해서는 지금 아직 들어보지 못했다.


역주
역주1 衡石稱縣 : 衡은 저울대이고 石은 120근 무게의 단위로, 저울의 통칭이다. 稱縣은 저울추이다. 縣은 ‘懸’과 통용한다.
역주2 斗斛(곡)(대) : 斗는 10되의 단위이고, 斛은 10말의 단위이다. 敦는 기장과 피, 벼 등 곡물을 담는 그릇의 이름으로, 한 말 두 되가 들어간다. 둥근 모양인 球形으로, 세 개의 구부러진 짧은 발, 불룩한 배, 두 개의 귀에다가 손잡이가 달린 뚜껑이 있다. 槩는 말이나 휘에 담긴 곡물의 윗부분을 고르게 밀어내는 평미레이다.
역주3 ()[] : 저본에는 ‘粟’으로 되어 있으나, ≪三輔黃圖≫ 권4에 의거하여 바로잡았다.
역주4 : ‘어렵다’는 뜻으로, 揚雄이 ≪易經≫에 견주어 우주만물의 근원을 논한 ≪太玄經≫의 81首 가운데 제3首이다.

순자집해(3) 책은 2021.01.29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