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荀子集解(5)

순자집해(5)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순자집해(5)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19-129 文織 資麤衰絰菲繐菅屨 是吉凶憂愉之情 發於衣服者也
卑絻 與裨冕同하니 衣裨衣而服冕也 裨之言 卑也 天子六服 大裘爲上하고 其餘爲
諸侯以下皆服焉이라 文織 染絲織爲文章也하니 卽齊衰也
麤布也 今麤布亦謂之資 草衣 蓋如蓑然이라 或當時喪者有服此也
繐衰也 鄭玄云 繐衰 小功之縷 之衰也 凡布細而疎者謂之繐 今南陽有鄧繐布라하니라
茅也 春秋傳曰 晏子杖菅屨也라하니라
○盧文弨曰 注鄧繐布 今儀禮無布字
王念孫曰 案富國篇曰 天子袾裷衣冕하며 諸侯玄裷衣冕하며 大夫裨冕하며 士皮弁이라하고
大略篇曰 天子山冕하며 諸侯玄冠하며 大夫裨冕하며 士韋弁이라하여 其制上下不同하니 此不當獨擧裨冕言之
楊以卑絻爲裨冕하니 未是也 卑絻 疑當爲𢍍絻이니 𢍍 卽今弁字
弁絻黼黻文織 皆二字平列이요 且弁絻二字 兼上下而言이라
此篇曰 弁絻黼黻文織이라하고 君道篇曰 冠弁衣裳하고 黼黻文章이라하며
曾子問曰 天子賜諸侯大夫冕弁服이라하고 禮運曰 冕弁兵革이라하니라
昭元年左傳曰 吾與子弁冕端委라하고 九年傳曰 猶衣服之有冠冕이라하고
宣元年公羊傳曰 已練可以弁冕이라하고 僖八年穀梁傳曰 弁冕雖舊라도 必加於首라하니라
或言弁冕하고 或言冕弁하고 或言冠冕하고 或言冠弁하여 皆二字平列이요 且兼上下而言이라 故知卑絻爲𢍍絻之誤
說文 冕也라하니 作𢍍하고 或作𢌮이라
今經傳 皆作弁하여 而㝸𢍍𢌮三字遂廢 此𢍍字若不誤爲卑 則後人亦必改爲弁矣리라


예복의 , 예복, 채색문양의 견직물과 굵은 베의 상복, 상복에 두르는 首絰腰絰, 얇은 삼베옷, 짚신은 곧 길한 일과 흉한 일에 근심하고 즐거워하는 감정이 복장에 나타난 것이다.
斬衰圖斬衰圖
楊倞注卑絻은 ‘裨冕’과 같으니, 裨衣를 입고 면류관을 쓴다는 뜻이다. 라는 말은 낮다는 뜻이다. 천자가 입는 여섯 가지 冕服 가운데 大裘가 가장 높고 그 나머지는 裨衣이다.
섬기는 신의 높고 낮은 등급에 따라 〈제사 지낼 때 구분하여〉 착용한다. 제후 이하는 모두 〈裨衣를〉 입는다. 文織은 염색한 명주실을 짜 문양을 만든 것이다. 는 ‘’와 같으니, 곧 齊衰이다.
는 거친 피륙이다. 오늘날에도 거친 피륙을 ‘’라 이른다. 는 풀로 엮은 옷이니, 대체로 도롱이와 같은 것이다. 혹시 그 당시 喪中에 있는 자가 이것을 착용했을 수도 있다.
繐衰이다. 鄭玄이 “繐衰小功服의 올이니, 넉 새 반으로 만든 喪服이다. 일반적으로 피륙의 올이 가늘면서도 엉성한 것을 ‘’라 말하니, 지금 南陽 지방에 鄧繐布가 있다.”라고 하였다.
은 띠풀이다. ≪春秋左氏傳襄公 17년에 “晏子杖菅屨(〈晏桓子가 죽자 그의 아들〉 晏子가 대지팡이를 짚고 짚신을 신었다.)”라 하였다.
盧文弨:〈楊氏의〉 주 ‘鄧繐布’는 지금의 ≪儀禮≫에는 ‘’자가 없다.
王念孫:살펴보건대, 〈富國篇〉에 “天子袾裷衣冕 諸侯玄裷衣冕 大夫裨冕 士皮弁(천자는 붉은색의 곤룡포에 면류관을 쓰며 제후는 검은색의 곤룡포에 면류관을 쓰며 대부는 裨衣를 입고 면류관을 쓰며 皮弁을 쓴다.)”이라 하고,
大略篇〉에 “天子山冕 諸侯玄冠 大夫裨冕 士韋弁(천자는 산 모양의 도안이 그려진 예복에 면류관을 쓰며 제후는 검은색의 관을 쓰며 大夫裨衣를 입고 면류관을 쓰며 韋弁을 쓴다.)”이라 하여 그 제도가 지위의 상하에 따라 같지 않으니, 여기서 마땅히 ‘裨冕’만을 들추어 말해서는 안 된다.
그런데 楊氏卑絻裨冕으로 풀이하였으니, 옳지 않다. ‘卑絻’은 아마도 마땅히 ‘𢍍’으로 되어야 할 것이니, ‘𢍍’은 곧 지금의 ‘’자이다.
弁絻黼黻文織은 모두 두 자가 같은 뜻으로 배열되었고, 게다가 ‘弁絻’ 두 자는 지위의 고하를 겸하여 말한 것이다.
이 편에서는 ‘弁絻黼黻文織’이라 말하고, 〈君道篇〉에 “冠弁衣裳 黼黻文章(관과 의상을 〈수식하고〉 예복에 각종 문양을 수놓는다.)”이라 하였으며,
禮記≫ 〈曾子問〉에 “天子賜諸侯大夫冕弁服(천자가 제후와 大夫에게 冕服弁服을 하사한다.)”이라 하고, ≪禮記≫ 〈禮運〉에 “冕弁兵革(冕服弁服, 병기와 갑옷)”이라 하였다.
또 ≪春秋左氏傳昭公 원년에 “吾與子弁冕端委(나와 그대가 弁服冕服의 예복을 입고 있다.)”라 하고, ≪春秋左氏傳昭公 9년에 “猶衣服之有冠冕(의복에 冠冕이 있는 것과 같다.)”이라 하고,
春秋公羊傳宣公 원년에 “已練可以弁冕(이미 小祥이 지난 뒤에는 弁服冕服을 착용할 수 있다.)”이라 하고, ≪春秋穀梁傳僖公 8년에 “弁冕雖舊 必加於首(관은 비록 낡았더라도 반드시 머리에 쓴다.)”라 하였다.
혹은 ‘弁冕’이라 하고 혹은 ‘冕弁’이라 하고 혹은 ‘冠冕’이라 하고 혹은 ‘冠弁’이라 하여 모두 두 자가 같은 뜻으로 배열되었고, 게다가 지위의 고하를 겸하여 말하였기 때문에 ‘卑絻’이 ‘𢍍’의 잘못이라는 것을 알았다.
說文解字≫에 “은 ‘’과 같다.”라 하였는데, 籒文에 ‘𢍍’으로 되어 있고 혹은 ‘𢌮’으로 되어 있기도 하다.
지금의 經傳에는 모두 ‘’으로 되어 있어 ‘’‧‘𢍍’‧‘𢌮’ 세 자는 마침내 폐지되었다. 이 ‘𢍍’자가 만약 ‘’로 잘못되지 않았더라면 후세 사람이 또한 반드시 ‘’으로 고쳤을 것이다.


역주
역주1 卑絻(면) : 王念孫의 주에 의하면 ‘弁冕’과 같다. 冕은 면류관으로, 吉禮를 행할 때 제왕의 正服에 갖추어 쓰던 관이고, 弁은 제후 이하가 일반 예복에 갖추어 쓰던 관이다. 여기서는 단순히 예복에 갖추어 쓰던 관이라는 뜻에 지나지 않는다.
역주2 黼黻 : 제왕이 吉禮 때 입던 예복이다. 하의인 袞裳에 서로 등을 대고 있는 도끼 형상을 수놓은 것을 黼라 하고, 弓자 모양이 좌우로 등지고 있는 형상을 수놓은 것을 黻이라 한다. 여기서는 단순히 예복을 가리킨다.
역주3 (卑)[裨] : 저본에는 ‘卑’로 되어 있으나, ≪儀禮≫ 〈覲禮〉에 “侯氏裨冕(제후는 裨衣를 입고 면류관을 쓴다.)”이라 한 곳의 鄭玄 주에 의거하여 ‘裨’로 바로잡았다.
역주4 天子六服……以事尊卑服之 : 六服은 周나라 천자의 여섯 가지 冕服으로, 大裘‧袞衣‧禪衣‧罽(계)衣‧絺(치)衣‧玄衣를 말한다. ≪周禮≫ 〈春官 司服〉에 “천자의 吉服은 上帝에 제사 지낼 때 大裘에다 면류관을 착용하는데 五帝에 제사 지낼 때도 그와 같다. 선대의 왕에 제사 지낼 때는 袞冕을 착용하고, 조상에 제사 지내거나 饗射를 거행할 때는 鷩冕, 곧 禪衣를 착용하고, 사방의 신과 산천의 신에 제사 지낼 때는 毳(취)冕, 곧 罽衣를 착용하고, 社稷과 五嶽의 신에 제사 지낼 때는 希冕, 곧 絺衣을 착용하고, 기타 소소한 신들에 제사 지낼 때는 玄冕을 착용한다.”라고 하였다. 이처럼 섬기는 대상인 신들의 높고 낮은 등급에 따라 제사 지낼 때 착용하는 예복이 다르다.
역주5 四升半 : 升은 날실을 세는 단위로 새라고 말한다. 한 새는 80올이므로, 넉 새 반은 360올이다. 피륙의 폭이 되는 바디의 길이는 약 두 자 두 치인데, 이 바디에 늘어선 대오리의 수가 곧 날실의 수이다. 새 수가 많을수록 피륙의 면이 촘촘하여 매끄럽다. 넉 새 반은 올끼리의 간격이 넓어 매우 거칠다.
역주6 籒文 : 서체의 하나로, 周 宣王 때 史籒가 만들었다고 한다. 흔히 大篆으로 불리며 籒書라 하기도 한다.

순자집해(5) 책은 2020.12.29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