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荀子集解(2)

순자집해(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순자집해(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8-164 法敎之所不及 聞見之所未至 則知不能類也
有所不知 則不能取比類而通之也 禮記雖先王未之有라도 可以義起 是能類者矣
○兪樾曰 楊注斷明不能齊爲句하니 此失其讀也 齊讀爲濟하여 然而以下十八字 作一句讀
言法敎所及 聞見所至 則明足以及之 而不能濟其法敎所未及 聞見所未至也
所以然者 由其知不能類也 學者誤謂明不能齊 知不能類 相對成文이라하여 遂以齊字斷句하니 失之矣
韓詩外傳 正作明不能濟法敎之所不及聞見之所未至하고 無知不能類句


법제가 미치지 못하는 부분과 견문見聞이 도달하지 못하는 문제에 대해서는 그의 지혜가 해결책을 유추해 알아내지는 못하며,
양경주楊倞注:어떤 모르는 일이 있을 때는 비슷한 부류를 유추하여 그 해결책을 알아내지 못한다는 것이다. ≪예기禮記≫ 〈예운禮運〉에 “비록 고대의 성왕聖王 때 없던 예법이더라도 사리에 맞는다면 새로 만들 수 있다.”라고 한 경우가 곧 능히 유추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유월兪樾양씨楊氏의 주는 ‘명불능제明不能齊’를 끊어 한 문구로 만들었으니, 이는 그 구두를 잘못 끊은 것이다. 를 ‘’자로 간주해 읽어 ‘연이然而’ 이하 18자를 한 구두로 만들어야 한다.
이 문장은 ‘법제가 미치는 부분과 견문이 도달하는 문제는 그의 지혜가 충분히 소화해낼 수 있으나 법제가 미치지 못하는 부분과 견문이 도달하지 못하는 문제는 해결하지 못한다.’는 뜻으로 말한 것이다.
그 이유는 그의 지혜가 능히 해결책을 유추해 알아내지 못하기 때문이다. 그런데 학자들이 ‘명불능제明不能齊’와 ‘지불능류知不能類’가 대를 맞춰 문구를 형성한 것으로 잘못 생각한 나머지 마침내 ‘’자에서 구두를 끊었으니, 잘못되었다.
한시외전韓詩外傳≫에는 바르게 ‘명불능제법교지소불급문견지소미지明不能濟法敎之所不及聞見之所未至’로 되어 있고 ‘지불능류知不能類’ 구는 없다.



순자집해(2) 책은 2023.12.18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