注
		                       		
		                        
		                        	
		                        		
									
                        			
                        			
                        		
	                     		
			                       	
			                       	
	                     		
	                     		
		                        
                        	
                        	
                        	
                        	
                        		
                        		
                        		
                        			
                        			
		                       		
		                       		
		                       		
		                        
		                        	
		                        		
		                            	王念孫曰 欲得善馭速致遠者
注+宋呂錢本竝如是라는 元刻世德堂本
에 速上有及字
라 盧從宋本
하여 云俗間本有及字
라하니 案有及字者是也
라  
									
                        			
                        			
                        		
	                     		
			                       	
			                       	
	                     		
	                     		
		                        
                        	
                        	
                        	
                        	
                        		
                        		
                        		
                        			
                        			
		                       		
		                       		
		                       		
		                        
		                        	
		                        		
		                            	及速與致遠對文이라 行速則難及하고 道遠則難致라 故唯善馭者라야 乃能及速致遠이라 
		                            	 
									
                        			
                        			
                        		
	                     		
			                       	
			                       	
	                     		
	                     		
		                        
                        	
                        	
                        	
                        	
                        		
                        		
                        		
                        			
                        			
		                       		
		                       		
		                       		
		                        
		                        	
		                        		
		                            	非謂其致遠之速也니 則不得以速致遠連讀이라 善馭及速致遠과 與善射射遠中微對文이라 若無及字면 則與上文不對니 一證也라 
		                            	 
									
                        			
                        			
                        		
	                     		
			                       	
			                       	
	                     		
	                     		
		                        
                        	
                        	
                        	
                        	
                        		
                        		
                        		
                        			
                        			
		                       		
		                       		
		                       		
		                        
		                        	
		                        		
		                            	王霸篇云 欲得善射하여 射遠中微면 則莫若羿蠭門矣요 欲得善馭하여 及速致遠이면 則莫若王良造父矣라하여 與此文同一例니 二證也라 
		                            	 
									
                        			
                        			
                        		
	                     		
			                       	
			                       	
	                     		
	                     		
		                        
                        	
                        	
                        	
                        	
                        		
                        		
                        		
                        			
                        			
		                       		
		                       		
		                       		
		                        
		                        	
		                        		
		                            	淮南主術篇云 夫載重而馬羸면 雖造父不能以致遠하고 車輕而馬良이면 雖中工可使追速이라하니라 
		                            	 
									
                        			
                        			
                        		
	                     		
			                       	
			                       	
	                     		
	                     		
		                        
                        	
                        	
                        	
                        	
                        		
                        		
                        		
                        			
                        			
		                       		
		                       		
		                       		
		                        
		                        	
		                        		
		                            	追遠致遠은 卽及速致遠이니 三證也라 群書治要有及字하니 四證也라 
		                            	 
									
                        			
                        			
                        		
	                     		
			                       	
			                       	
	                     		
	                     		
		                        
                        	
                        	
                        	
                        	
                        		
                        		
                        		
                        			
                        			
		                       		
		                       		
		                       		
		                        
		                        	
		                        		
		                            	兪樾曰 王謂有及字者是라하니 不知此與彼文不同이라 彼無一日而千里五字라 故有及速二字요 
		                            	 
									
                        			
                        			
                        		
	                     		
			                       	
			                       	
	                     		
	                     		
		                        
                        	
                        	
                        	
                        	
                        		
                        		
                        		
                        			
                        			
		                       		
		                       		
		                       		
		                        
		                        	
		                        		
		                            	此云一日而千里하니 則及速不待言矣라 荀子原文에 不獨無及字요 竝無速字라 
		                            	 
									
                        			
                        			
                        		
	                     		
			                       	
			                       	
	                     		
	                     		
		                        
                        	
                        	
                        	
                        	
                        		
                        		
                        		
                        			
                        			
		                       		
		                       		
		                       		
		                        
		                        	
		                        		
		                            	儒效篇曰 輿固馬選矣로되 而不能以致遠一日而千里면 則非造父也라하여 亦言一日千里로되 而無及速之文하니 可證也라 
		                            	 
									
                        			
                        			
                        		
	                     		
			                       	
			                       	
	                     		
	                     		
		                        
                        	
                        	
                        	
                        	
                        		
                        		
                        		
                        			
                        			
		                       		
		                       		
		                       		
		                        
		                        	
		                        		
		                            	俗本據王霸篇하여 誤加及速二字라 呂錢本無及字하되 而有速字는 則刪之未盡者耳라
		                            	 
									
                        			
                        			
                        		
	                     		
			                       	
			                       	
	                     		
	                     		
		                        
                        	
                        	
                        	
                        	
                   			
                    			
                    				
                    				 
                    			
                   			
                        	
                        	
                        	
                        	
	                       	
	                       	
	                       	
	                       	
							                       	
	                        
	                        
	                        	
	                        
	                        	
	                        
	                        	
	                        
	                        	
	                        
	                        	
	                        
	                        	
	                        
	                        	
	                        
	                        	
	                        
	                        	
	                        
	                        	
	                        
	                        	
	                        
	                        	
	                        
	                        	
	                        
	                        	
	                        
	                        	
	                        
	                        	
	                        
	                        	
	                        
	                        	
	                        
	                        	
	                        
	                        	
	                        
	                        	
	                        
	                        	
	                        
	                        	
	                        
	                        	
	                        
	                        
	                        
                        	
		                        
		                        
		                        
		                        
                        		
                        	
		                        
		                        
		                        
		                        	
		                        	
		                        
		                        
                        		
                        		
                        			
			                        
			                        	이는 비록 성인이라 하더라도 이 방법을 바꿀 수는 없다. 수레를 잘 몰며 멀리 달려 하루에 천 리를 가는 사람을 얻기를 원한다면
			                              
                        			
                        		
                        		
	                     		
			                       	
			                       	
	                     		
		                        
                        	
		                        
		                        
		                        
		                        
                        		
                        	
		                        
		                        
		                        
		                        
                        		
                        		
                        		
                        			
                        			
		                       		
		                       		
		                       		
		                       			
		                       			
		                       			
		                       				注
		                       		
		                       		
		                        		
			                            	○노문초盧文弨:‘선어善馭’ 아래에 세간의 판본에는 ‘급及’자가 있다. 
			                             
									
                        			
                        			
                        		
	                     		
			                       	
			                       	
	                     		
		                        
                        	
		                        
		                        
		                        
		                        
                        		
                        	
		                        
		                        
		                        
		                        
                        		
                        		
                        		
                        			
                        			
		                       		
		                       		
		                       		
		                       		
		                        		
			                            	왕염손王念孫:‘
욕득선어속치원자欲得善馭速致遠者’는
注+송 여宋 呂‧전본錢本에는 모두 이와 같다. 원각본元刻本과 
세덕당본世德堂本에 ‘
속速’ 위에 ‘
급及’자가 있다. 
노씨盧氏는 
송본宋本에 따라 “세간의 판본에는 ‘
급及’자가 있다.”라고 하였는데, 살펴보건대, ‘
급及’자가 있는 것이 옳다. 
 
			                             
									
                        			
                        			
                        		
	                     		
			                       	
			                       	
	                     		
		                        
                        	
		                        
		                        
		                        
		                        
                        		
                        	
		                        
		                        
		                        
		                        
                        		
                        		
                        		
                        			
                        			
		                       		
		                       		
		                       		
		                       		
		                        		
			                            	‘급속及速’과 ‘치원致遠’은 짝을 이룬 글이다. 달려가는 것이 빠르면 따라가기 어렵고 갈 길이 멀면 도달하기 어렵다. 그러므로 수레를 잘 모는 사람이라야 비로소 빨리 가고 멀리 갈 수가 있다. 
			                             
									
                        			
                        			
                        		
	                     		
			                       	
			                       	
	                     		
		                        
                        	
		                        
		                        
		                        
		                        
                        		
                        	
		                        
		                        
		                        
		                        
                        		
                        		
                        		
                        			
                        			
		                       		
		                       		
		                       		
		                       		
		                        		
			                            	먼 곳을 빨리 간다는 말이 아니니, ‘속치원速致遠’을 연이어 읽을 수 없다. ‘선어급속치원善馭及速致遠’과 ‘선사사원중미善射射遠中微’는 짝을 이룬 글이다. 만약 ‘급及’자가 없다면 윗글과 짝이 되지 않으니, 이것이 첫 번째 증거이다. 
			                             
									
                        			
                        			
                        		
	                     		
			                       	
			                       	
	                     		
		                        
                        	
		                        
		                        
		                        
		                        
                        		
                        	
		                        
		                        
		                        
		                        
                        		
                        		
                        		
                        			
                        			
		                       		
		                       		
		                       		
		                       		
		                        		
			                            	〈왕패편王霸篇〉에 “욕득선사 사원중미 즉막약예봉문의 욕득선어 급속치원 즉막약왕량조보의欲得善射 射遠中微 則莫若羿蠭門矣 欲得善馭 及速致遠 則莫若王良造父矣(활을 잘 쏘아서 멀리 쏘고 작은 것을 맞히는 사람을 얻고자 한다면 후예后羿와 봉문蠭門보다 더 좋은 사람이 없고, 수레를 잘 몰아 빨리 멀리까지 가는 사람을 얻고자 한다면 왕량王良과 조보造父보다 더 좋은 사람이 없다.)”라고 하여 여기 글과 동일한 형식이니, 이것이 두 번째 증거이다. 
			                             
									
                        			
                        			
                        		
	                     		
			                       	
			                       	
	                     		
		                        
                        	
		                        
		                        
		                        
		                        
                        		
                        	
		                        
		                        
		                        
		                        
                        		
                        		
                        		
                        			
                        			
		                       		
		                       		
		                       		
		                       		
		                        		
			                            	≪회남자淮南子≫ 〈주술훈主術訓〉에 “부재중이마리 수조보불능이치원 차경이마량 수중공가사추속夫載重而馬羸 雖造父不能以致遠 車輕而馬良 雖中工可使追速(실은 짐이 무겁고 말이 허약하다면 비록 〈말을 잘 모는〉 조보造父라도 〈수레를 몰아〉 멀리 가지 못하고, 수레가 가볍고 말이 건장하다면 〈말을〉 보통 수준으로 모는 사람이라도 〈수레를〉 빨리 몰아 달릴 수 있다.)”이라 하였다. 
			                             
									
                        			
                        			
                        		
	                     		
			                       	
			                       	
	                     		
		                        
                        	
		                        
		                        
		                        
		                        
                        		
                        	
		                        
		                        
		                        
		                        
                        		
                        		
                        		
                        			
                        			
		                       		
		                       		
		                       		
		                       		
		                        		
			                            	‘추원追遠’과 ‘치원致遠’은 곧 ‘급속及速’과 ‘치원致遠’이니, 이것이 세 번째 증거이다. ≪군서치요群書治要≫에도 ‘급及’자가 있으니, 이것이 네 번째 증거이다. 
			                             
									
                        			
                        			
                        		
	                     		
			                       	
			                       	
	                     		
		                        
                        	
		                        
		                        
		                        
		                        
                        		
                        	
		                        
		                        
		                        
		                        
                        		
                        		
                        		
                        			
                        			
		                       		
		                       		
		                       		
		                       		
		                        		
			                            	유월兪樾:왕씨王氏는 ‘급及’자가 있는 것이 옳다고 하였는데, 여기는 저쪽(〈왕패편王霸篇〉)의 글과 다르다는 것을 몰라서 그런 것이다. 저쪽에는 ‘일일이천리一日而千里’라는 다섯 자가 없기 때문에 ‘급속及速’ 두 자가 있는 것이고, 
			                             
									
                        			
                        			
                        		
	                     		
			                       	
			                       	
	                     		
		                        
                        	
		                        
		                        
		                        
		                        
                        		
                        	
		                        
		                        
		                        
		                        
                        		
                        		
                        		
                        			
                        			
		                       		
		                       		
		                       		
		                       		
		                        		
			                            	여기는 ‘일일이천리一日而千里’를 말했으니 ‘급속及速’은 언급할 필요가 없다. ≪순자荀子≫ 원문에는 ‘급及’자가 없을 뿐만 아니라 아울러 ‘속速’도 없었을 것이다. 
			                             
									
                        			
                        			
                        		
	                     		
			                       	
			                       	
	                     		
		                        
                        	
		                        
		                        
		                        
		                        
                        		
                        	
		                        
		                        
		                        
		                        
                        		
                        		
                        		
                        			
                        			
		                       		
		                       		
		                       		
		                       		
		                        		
			                            	〈유효편儒效篇〉에 “여고마선의 이불능이치원일일이천리 즉비조보야輿固馬選矣 而不能以致遠一日而千里 則非造父也(수레가 튼튼하고 말이 우수하더라도 능히 멀리 가 하루에 천 리를 달리지 못한다면 조보造父가 아니다.)라 하여 또 ‘일일천리一日千里’를 말했으나 ‘급속及速’이란 글이 없으니, 〈나의 이 견해를〉 증명할 수 있다. 
			                             
									
                        			
                        			
                        		
	                     		
			                       	
			                       	
	                     		
		                        
                        	
		                        
		                        
		                        
		                        
                        		
                        	
		                        
		                        
		                        
		                        
                        		
                        		
                        		
                        			
                        			
		                       		
		                       		
		                       		
		                       		
		                        		
			                            	세간의 판본에는 〈왕패편王霸篇〉을 근거로 ‘급속及速’ 두 자를 잘못 추가하였다. 여呂‧전본錢本에 ‘급及’자 없으면서도 ‘속速’자가 있는 것은 그 문구를 삭제하면서도 완전히 삭제하지 못한 결과일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