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荀子集解(4)

순자집해(4)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순자집해(4)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17-79 在天者莫明於日月하고 在地者莫明於水火하고 在物者莫明於珠玉하고 在人者莫明於禮義
日月不高 則光暉不赫하고 水火不積이면 則暉潤不博하고 珠玉不睹乎外 則王公不以爲寶하고
○王念孫曰 不睹乎外四字 文義不明하니 當爲暏
說文 旦明也 從日者聲이라하고 玉篇 丁古切이라하니 暏之言著也
上言日月不高 則光煇不赫하고 水火不積이면 則煇潤不博이라하니 則此言珠玉睹乎外 亦謂其光采之著乎外
故上文云 在物者莫明於珠玉也 世人多見睹하고 少見暏 故暏誤爲睹
夏小正傳 蓋陽氣且暏也라하여늘 今本且暏作旦睹하니 誤與此同이라


하늘에 있는 것으로는 해와 달보다 더 밝은 것은 없고, 지상에 있는 것으로는 물과 불보다 더 밝은 것은 없고, 물건 중에는 주옥珠玉보다 더 밝은 것은 없고, 인류에게는 예의禮義보다 더 밝은 것은 없다.
대체로 해와 달이 공중에 높이 걸려 있지 않으면 광채가 빛나지 않고, 물과 불이 지상에 모여 있지 않으면 불의 광채와 물의 광택이 넓지 않고, 주옥珠玉이 겉으로 드러나 보이지 않으면 천자와 제후들이 그것을 보배로 여기지 않고,
왕염손王念孫:‘부도호외不睹乎外’ 네 자는 글의 뜻이 분명치 않으니, ‘’는 마땅히 ‘’로 되어야 한다.
설문해자說文解字≫에 “는 아침 해가 밝다는 뜻이니, 형부形符가 되고 성부聲符가 된다.”라 하고, ≪옥편玉篇≫에 “〈그 음이〉 의 반절이다.”라고 하였으니, 라는 말은 드러난다는 뜻이다.
위에서 해와 달이 공중에 높이 걸려 있지 않으면 광채가 빛나지 않고, 물과 불이 지상에 모여 있지 않으면 불의 광채와 물의 광택이 넓지 않다고 말했으니, 여기에 ‘주옥도호외珠玉睹乎外’라고 말한 것도 그 광채가 밖으로 드러난 것을 이른다.
그러므로 윗글에 “물건 중에는 주옥珠玉보다 더 밝은 것은 없다.”라고 말한 것이다. 세상 사람들이 ‘’자는 많이 보고 ‘’자는 적게 보았기 때문에 ‘’가 ‘’로 잘못된 것이다.
대대례기大戴禮記≫ 〈하소정夏小正〉의 에 “개양기차도야蓋陽氣且暏也”라 하였는데, 지금 판본에는 이 ‘차도且暏’가 ‘단도旦睹’로 되어 있으니, 그 잘못이 여기의 경우와 같다.


역주
역주1 : ‘夫’와 같다. 아래의 경우도 같다.

순자집해(4) 책은 2022.08.31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