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荀子集解(5)

순자집해(5)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순자집해(5)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22-134 凡人之取也 所欲未嘗粹而來也하고 其去也 所惡未嘗粹而往也 故人無動而可以不與權俱
全也 凡人意有所取 其欲未嘗全來하고 意有所去 其惡未嘗全去하여 皆所不適意也
權者 稱之權이니 所以知輕重者也 能權變適時 故以喩道也
言人之欲惡常難適意 故其所擧動而不可不與道俱 不與道俱 則惑於欲惡矣리라
故達道者不戚戚於貧賤하고 不汲汲於富貴 故能遣夫得喪하여 欲惡不以介懷而欲自節矣
○王念孫曰 上不字衍이라 此言人之擧動不可不與權俱注+ 謂道也 不與權俱 則必爲欲惡所惑이라
故曰 人無動而可以不與權俱라하니라 今本 可上有不字者 涉注文不可不與道俱而衍이라


일반적으로 사람들이 어떤 것을 취할 적에 그가 원하는 것이 완전하게 얻어지는 일이 없고, 어떤 것을 놓아버릴 적에 그가 싫어하는 것이 완전하게 버려지는 일이 없다. 그러므로 사람들은 행동할 때마다 준칙과 함께하지 않으면 안 된다.
楊倞注는 완전하다는 뜻이다. 일반적으로 사람들이 마음속에 무엇을 취하고 싶은 것이 있을 때 그 원하는 것이 완전하게 들어오는 일이 없고, 마음속에 무엇을 놓아버리고 싶은 것이 있을 때 그 싫어하는 것이 완전하게 버려지는 일이 없어 모두 뜻대로 되지 않는다.
은 저울추이니, 무게를 알기 위한 것이다. 능히 달라지는 무게를 저울질하여 그때그때 균형을 이루므로 이것을 에 비유한다.
사람들의 욕망과 厭惡는 항상 자기 뜻대로 되기 어렵기 때문에 어떤 행동을 할 때마다 와 함께하지 않으면 안 되는 것이니, 와 함께하지 않으면 반드시 욕망과 염오에 미혹될 것이다.
그러므로 를 깨달은 사람은 貧賤에 슬퍼하지 않고 富貴에 급급해하지 않는다. 그리하여 得失을 놓아버림으로써 욕망과 염오가 가슴에 끼어 있지 않아 욕망이 저절로 절제되는 것이다.
王念孫:위의 ‘’자는 잘못 덧붙여진 것이다. 이 단락은 사람의 거동이 준칙과 함께하지 않으면 안 된다는 것을 말한다.注+를 이른다. 준칙과 함께하지 않으면 반드시 욕망과 염오에 마음이 미혹될 것이다.
그러므로 “사람들은 행동할 때마다 준칙과 함께하지 않으면 안 된다.”라고 말한 것이다. 지금 판본에 ‘’ 위에 ‘’자가 있는 것은 〈楊倞〉 주의 문구인 ‘不可不與道俱’와 연관되어 잘못 덧붙여진 것이다.


역주
역주1 (不) : 저본에는 ‘不’이 있으나, 王念孫의 주에 의거하여 잘못 덧붙여진 것으로 처리하였다.

순자집해(5) 책은 2020.12.29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