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荀子集解(7)

순자집해(7)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순자집해(7)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31-14 五鑿爲하여 心從而壞 如此 則可謂庸人矣라하니라
竅也 五鑿 謂耳目鼻口及心之竅也 言五鑿雖似於正이라도 而其心已從外物所誘而壞矣 是庸愚之人也 一曰 五鑿 라하니라
莊子曰 六鑿相攘이라하여늘 相攘奪이라하니라 韓詩外傳 作五藏爲正也
○ 盧文弨曰 大戴禮 作五鑿爲政이라 此正字義當與政同하니 古通用이라 注似非
郝懿行曰 楊注五鑿五情 是也 莊子六鑿相攘 謂六情이니 可證이라
王念孫曰 楊後說以五鑿爲五情 頗勝前說이라


오관五官의 욕망에 지배되어 마음이 그에 따라 무너집니다. 이와 같이 한다면 용렬한 사람이라 말할 수 있을 것입니다.”
양경주楊倞注은 구멍이란 뜻이다. 오착五鑿은 귀․눈․코․입과 심장의 구멍을 이른다. 오착五鑿이 비록 정당한 것 같더라도 그 마음은 이미 외물外物이 유도한 대로 따라 무너졌을 것이니, 이런 자는 용렬하고 어리석은 사람이라는 말이다. 어떤 경우에는 “오착五鑿오정五情이다.”라고 하였다.
장자莊子≫ 〈외물外物〉에 “육착상양六鑿相攘(육착六鑿이 서로 침탈한다.)”이라 하였는데, 사마표司馬彪가 “육정六情이 서로 침탈한다는 뜻이다.”라고 하였다. ≪한시외전韓詩外傳≫에는 ‘오장위정五藏爲正’으로 되어 있다.
노문초盧文弨:≪대대례기大戴禮記≫에는 ‘오착위정五鑿爲政’으로 되어 있다. 이 ‘’자의 뜻은 마땅히 ‘’과 같은 것으로 보아야 하니, 옛날에는 〈두 글자를〉 통용하였다. 〈양씨楊氏의〉 주는 틀린 것 같다.
학의행郝懿行양씨楊氏 주에 “오착五鑿오정五情이다.”라고 한 것이 옳다. ≪장자≫ 〈외물〉에 ‘육착상양六鑿相攘’이라 한 곳의 〈육착六鑿은〉 육정六情을 이르니, 〈이로써〉 증명할 수 있다.
왕염손王念孫양씨楊氏의 뒤 설에 ‘오착五鑿오정五情’이라 한 것이 앞 설보다 상당히 낫다.


역주
역주1 : ‘政’과 통한다. 政은 ‘다스리다’의 뜻이므로 편의상 ‘지배되다’로 풀이하였다.
역주2 五情 : 喜․怒․哀․樂․怨의 다섯 가지 감정을 말한다.
역주3 司馬彪 : 晉나라 河內 溫縣 사람으로, 자는 紹統이다. ≪莊子注≫를 편찬하였다.
역주4 六情 : 喜․怒․哀․樂․愛․惡(오)의 여섯 가지 감정을 말한다.

순자집해(7) 책은 2023.12.18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