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荀子集解(3)

순자집해(3)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순자집해(3)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11-176 使衣服有制하고 宮室有度하며 人徒有數하고 喪祭械用 皆有等宜 以是用挾於萬物하여
人徒 謂胥徒 給徭役者也 械用 器用也 皆有等宜 言等差皆得其宜也 讀爲浹이라
○王念孫曰 案用挾二字 文義不明하니 用當爲周字之誤也 周挾 卽周浹이라
君道篇曰 先王審禮하여 以方皇周浹於天下라하고 禮論篇曰 方皇周挾하여 曲得其次序
楊彼注曰 挾 讀爲浹이니 帀也 言於是禮之中 徘徊周帀하여 委曲皆得其次序而不亂이라하고
此注亦曰 挾 讀爲浹이라하니 則楊本正作周挾明矣


각급 관리가 입는 의복이 일정한 규격이 있고 거주하는 건물이 일정한 표준이 있으며, 부리는 하급관리가 일정한 숫자가 있고 상례喪禮제사祭祀 때 사용하는 기물들이 〈존귀하고 미천한 신분에 따라〉 모두 등급에 맞는 규정이 있게 하여야 한다. 그러면서 이와 같은 방법을 각종 사물에 보편적으로 적용하여
양경주楊倞注인도人徒서도胥徒를 말하니, 요역徭役에 종사하는 하급관리이다. 계용械用은 기물이다. 개유등의皆有等宜는 신분의 등급에 따라 그에 적합한 규정이 있는 것을 말한다. 은 ‘’으로 읽어야 한다.
왕염손王念孫:살펴보건대, ‘용협用挾’ 두 자는 글뜻이 분명치 않으니, ‘’은 마땅히 ‘’자의 잘못으로 보아야 한다. ‘주협周挾’은 곧 ‘주협周浹’이다.
군도편君道篇〉에 “선왕심례 이방황주협어천하先王審禮 以方皇周浹於天下(고대의 성왕聖王예의禮義를 분명히 알아 천하에 여유롭게 널리 시행하였다.)”라 하고, 〈예론편禮論篇〉에 “방황주협 곡득기차서方皇周挾 曲得其次序(여유롭게 움직이면서 완곡하게 그 질서에 부합하였다.)”라고 하였는데,
양씨楊氏의 그쪽 주에 “은 ‘(두루 미치다)’으로 읽어야 하니, ‘(빙 두르다)’의 뜻이다. 예의禮義 속에서 맴돌고 왕래하여 완곡하게 모두 그 질서를 얻는 것을 말한다.”라 하고,
이곳 주에도 “은 ‘’으로 읽어야 한다.”라고 하였으니, 양씨楊氏가 본 판본에 바로 ‘주협周挾’으로 되어 있었다는 것이 분명하다.



순자집해(3) 책은 2021.01.29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