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荀子集解(4)

순자집해(4)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순자집해(4)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17-36 志於天者 象之可以期者矣
記識也 聖人雖不務知天이나 猶有記識以助治道
所以記識於天者 其見垂象之文可以知其節候者 是也
謂若堯命羲和하여 欽若昊天하여 曆象日月星辰하여 敬授人時者也
○兪樾曰 禮記緇衣篇曰 爲上可望而知也 爲下可述而志也 鄭注 猶知也라하니 所志於天者 卽所知於天者
下文志於地 志於四時 志於陰陽 竝同이라 此卽承上文 知其所爲 知其所不爲而言이라 楊訓志爲記識하니


하늘에 대해 알려고 하는 이유는 절기節氣를 예측할 천문 현상을 살펴볼 수 있기 때문이고,
양경주楊倞注는 기록한다는 뜻이다. 성인聖人이 비록 하늘을 알려고 힘쓰지는 않지만 그렇더라도 〈천문 현상을〉 기록하여 국가를 다스리는 정책을 돕는 일은 있다는 것이다.
하늘에 대해 기록하는 이유는 절기를 알 수 있는 천문 현상을 볼 수 있기 때문이라는 말이다.
서경書經≫ 〈요전堯典〉에 “요명희화堯命羲和 흠약호천欽若昊天 역상일월성신曆象日月星辰 경수인시敬授人時(임금이 희씨羲氏화씨和氏에게 명하여 하늘의 이치를 경건하게 따라서 해와 달과 별자리가 운행하는 규율을 추산해 역법曆法을 제정하여 백성들에게 절기를 알려주게 하였다.)”라고 말한 것과 같은 경우를 이른다.
유월兪樾:≪예기禮記≫ 〈치의편緇衣篇〉에 “위상가망이지야爲上可望而知也 위하가술이지야爲下可述而志也(윗자리에 있는 사람이 〈공정하면〉 그의 외모만 바라보고도 그 마음을 알 수 있고, 아랫자리에 있는 사람이 〈충성스러우면〉 그가 말하는 것만 듣고서도 그 행위를 알 수 있다.)”라고 한 곳의 정씨鄭氏 주에 “는 ‘’와 같다.”라고 하였으니, 소지어천所志於天은 곧 소지어천所知於天이다.
아랫글의 ‘지어지志於地’와 ‘지어사시志於四時’와 ‘지어음양志於陰陽’도 모두 이와 같다. 이것은 곧 윗글(17-32)의 ‘지기소위知其所爲 지기소불위知其所不爲(무엇이 마땅히 해야 할 일인가를 알고, 무엇이 마땅히 하지 말아야 할 일인가를 알게 된다.)’를 이어받아 말한 것이다. 양씨楊氏를 기록한다는 뜻으로 풀이하였으니, 잘못되었다.


역주
역주1 : 윗글의 ‘所不爲’‧‘所不慮’를 이어받아 말한 것으로, ‘其’와 같다. 아래의 세 ‘所’도 모두 같다.
역주2 : ‘以’와 같다. 아래의 세 ‘已’도 모두 같다.
역주3 : 살펴볼 수 있다는 뜻이다. 아래의 경우도 모두 같다.

순자집해(4) 책은 2022.08.31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