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荀子集解(1)

순자집해(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순자집해(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1-79 可與言而不言 謂之隱이라하고 不觀氣色而言 謂之瞽라하니
故君子不傲不隱不瞽하고 謹順其身하나니라
瞽者 不識人之顔色이라
○ 盧文弨曰 順 宋本作愼이라
今從元刻하니所引同이라
郝懿行曰 傲與敖同하니 敖者 謂放散也
謹順其身 猶人也
此謂君子言與不言 皆順其人之可與不可 所謂니라


함께 대화할 수 있는데도 말을 걸지 않는 것을 ‘숨긴다[隱]’고 이르고, 상대방의 기색을 살펴보지 않고 말을 거는 것을 ‘소경[瞽]’이라 이른다.
그러므로 군자는 거만하지도 않고 숨기지도 않고 소경 노릇도 하지 않으면서, 상대방의 행동에 따라 신중하게 말을 하는 것이다.
양경주楊倞注 : 소경은 상대방의 얼굴 기색을 모른다.
노문초盧文弨 : ‘’은 송본宋本에는 ‘’으로 되어 있다.
여기서는 원각본元刻本을 따랐는데, 이는 여동래呂東萊의 《독시기讀詩記》에서 인용한 것과 같다.
학의행郝懿行 : ‘’는 ‘’와 같으니 ‘’는 방종하고 산만한 것을 말한다.
근순기신謹順其身’의 ‘’은 상대방이란 말과 같다.
여기서는 군자가 말을 하거나 말을 하지 않는 것을 모두 상대방의 태도가 그럴 만한가 그럴 만하지 않는가에 따라 한다는 것을 말한 것이니, 이른바 ‘마땅히 말할 시점에 이르러 말을 하므로 상대방이 그의 말을 싫어하지 않는다.’는 경우이다.


역주
역주1 呂東萊讀詩記 : 呂東萊는 南宋 呂祖謙(1137~1181)을 말하고, 《讀詩記》는 그가 편찬한 《呂氏家塾讀詩記》의 약칭이다. 모두 32권이다.
역주2 時然後言 人不厭其言也 : 《論語》 〈憲問〉에 나오는 말이다.

순자집해(1) 책은 2024.01.0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