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荀子集解(1)

순자집해(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순자집해(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1-3 故木受繩則直하고 金就礪則利하고 君子博學而日乎己하면 則知明而行無過矣리라
三也
曾子曰 日三省吾身이라하니라
讀爲智
下孟反이라
○ 俞樾曰 省乎二字 後人所加也
荀子原文 蓋作君子博學而日參己리라
參者 驗也
史記禮書曰 參是豈無堅革利兵哉아하고 索隱曰 參者 驗也라하니라
管子君臣篇曰 若望參表라하고 曰 參表 謂立表所以參驗曲直이라하니
是參有參驗之義
君子博學而日參驗之於己 故知明而行無過也
後人不得參字之義하여 妄據論語三省吾身之文하여 增省乎二字하니 陋矣
大戴記勸學篇 作君子博學如日參己焉하니 如而古通用하고 無省乎二字하니 可據以訂正이라
先謙案 大戴記一本作君子博學如日參己焉하니 與俞說同이라
云 參己者 學乎兩端하여 以己參之라하고
一本作而日參省乎己焉하여 與荀子文同하니
此後人用荀子改大戴記也
荀書自作而日參省乎己하니
參三義同이라
群書治要作而日三省乎己하여 易參爲三하니
是本文有省乎二字之明證이요 與楊注義合하니 俞說非


그러므로 목재가 먹줄을 퉁겨 바로잡히는 과정을 거치면 곧아지고, 도검刀劍이 숫돌에 갈려지는 과정을 거치면 날카로워지며, 군자가 널리 배우고 또 매일 자기를 점검하고 성찰하는 과정을 거치면 식견이 고명해져서 행동에 잘못이 없을 것이다.
양경주楊倞注 : 자와 같다.
증자曾子가 말하기를 “매일 세 가지로 나 자신을 반성한다.”라고 하였다.
자로 간주해 읽는다.
의 음은 반절反切이다.
유월俞樾 : ‘성호省乎’ 두 자는 뒷사람이 덧붙인 것이다.
순자荀子》 본문에는 아마도 ‘군자박학이일참기君子博學而日參己’로 되어 있었을 것이다.
이란 검증한다는 뜻이다.
사기史記》 〈예서禮書〉에 “이로 인해 검증해본다면[參是] 어찌 단단하고 질긴 갑옷과 예리한 무기가 없겠는가.” 하고 《색은索隱》에 “이란 검증한다는 뜻이다.”라고 하였다.
관자管子》 〈군신편君臣篇〉에는 “측량대[參表]를 바라보는 것과 같다.” 하고 윤씨尹氏에 “측량대는 〈해의 그림자를 측량하는〉 막대기를 세운 것을 말하니, 이것은 그 그림자의 곡직曲直 여부를 검증하기 위해서이다.”라고 하였다.
이로 볼 때 은 검증한다는 뜻이 있다.
군자는 널리 배우고 그것을 매일 자기에게 검증하기 때문에 지혜가 밝아지고 행동에 잘못이 없는 것이다.
뒷사람이 자의 뜻을 알지 못하고 함부로 《논어論語》의 ‘삼성오신三省吾身’이란 문구를 근거로 삼아 ‘성호省乎’ 두 자를 덧붙였으니, 고루하다 하겠다.
대대례기大戴禮記》 〈권학勸學〉에 “군자박학여일참기언君子博學如日參己焉(군자는 널리 배우고 매일 자기를 검증한다.)”이라고 되어 있는데, ‘’와 ‘’는 옛날에 통용한 글자이고 또 ‘성호省乎’라는 두 자가 없으니, 이것을 근거로 바로잡을 수 있다.
선겸안先謙案 : 《대대례기大戴禮記》 가운데 어떤 판본에는 ‘君子博學如日參己焉’으로 되어 있어 俞氏의 설과 같다.
孔廣森이 말하기를 “參己란 서로 다른 지식을 널리 배워 자기 자신에게 그것을 검증해보는 것이다.” 하였다.
그러나 《大戴禮記》의 다른 판본에는 ‘而日參省乎己焉’으로 되어 있어 《荀子》 본문과 같다.
이로 볼 때 〈앞서의 《大戴禮記》는〉 뒷사람이 통행하는 《荀子》 판본을 따라 고친 것이라 할 수 있다.
《荀子》의 최초 원문에는 본디 ‘而日參省乎己’로 되어 있었을 것이다.
參과 三은 그 뜻이 같다.
《群書治要》에도 ‘而日三省乎己’로 되어 있는데, 여기서는 參을 三으로 바꾼 것이다.


역주
역주1 參(참)省 : 參은 점검한다는 뜻이고, 省은 살펴본다는 뜻이다.
역주2 尹注 : 唐 尹知章(665?~718)의 《管子注》를 가리킨다. 尹知章은 絳州 翼城 사람으로, 《周易》‧《老子》‧《莊子》에 조예가 깊었다. 則天武后 때 定王府文學으로 발탁된 뒤에 太常博士로 전임되었고 中宗 때 陸渾令이 되었다. 그 뒤에 張說의 천거로 禮部員外郞에 발탁되었다가 國子博士로 전임되었다. 《管子注》 이외에 《孝經》‧《老子》‧《莊子》‧《韓子》‧《鬼谷子》 등도 注解하였다.
역주3 孔氏廣森 : 孔廣森(1752~1786)을 가리킨다. 山東 曲阜 사람으로, 자는 眾仲이고 또 다른 자는 撝約이다. 戴震의 제자이며 經學家이자 古音韻學家이다. 乾隆 36년(1771)에 진사에 급제하고 檢討를 역임하였다. 여기에 인용된 말은 그가 편찬한 《大戴禮記補注》에 나온다. 《春秋公羊通義》‧《詩聲類》‧《儀鄭堂駢儷文》‧《經學卮言》 등도 편찬하였다.
역주4 《大戴禮記》 가운데……것이다 : 본문의 ‘日參省乎己’에 대해 王先謙이 여러 《大戴禮記》 판본 가운데 일부 판본 내용과 《群書治要》에 보이는 정황을 근거로 《荀子》의 해당 원문이 달라진 것으로 판단하였다. 그러나 朝川鼎‧于鬯‧梁啓超‧梁啓雄‧王天海 등 관련 학자들의 견해가 모두 俞樾의 설과 일치한 것으로 보아 王先謙의 설은 재고의 여지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순자집해(1) 책은 2024.01.0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