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荀子集解(3)

순자집해(3)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순자집해(3)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10-103 然後葷菜百疏以澤量이라
辛菜也 與蔬同이라 以澤量 言滿澤也 然後 義與上同이라
○郝懿行曰 葷菜 亦蔬耳로되 必別言之者
士相見禮 夜侍坐 問夜어나 膳葷하면 請退可也 鄭注 辛物 葱薤之屬이라 食之以止臥라하고
玉藻 膳於君 有葷桃茢 注云 葷 薑及辛菜也라하니라 然則葷菜先於百蔬 固有說矣


그 다음으로 훈채葷菜와 각종 채소는 호수를 계량단위로 삼아 헤아릴 정도이다.
양경주楊倞注은 매운 나물이다. 는 ‘’와 같다. 이택량以澤量은 호수에 가득한 것을 말하니, ‘산골짜기를 계량단위로 삼아 소와 말을 헤아릴 정도이다.’라는 말과 같다. 연후然後는 그 뜻이 위와 같다.
학의행郝懿行훈채葷菜도 나물일 뿐인데 굳이 따로 언급한 이유는
의례儀禮≫ 〈사상견례士相見禮〉에 “야시좌 문야 선훈 청퇴가야夜侍坐 問夜 膳葷 請退可也(야간에 군자를 모시고 앉아 있을 때 군자가 밤 시간이 얼마나 되었는가를 물어보거나 매운 것을 먹으면 물러가겠다고 청해야 한다.)”라고 한 곳의 정현鄭玄의 주에 “은 매운 식물로 파, 부추 등이다. 그것을 먹고 〈정신을 차려〉 자리에 눕는 것을 멈춘다.”라 하고,
예기禮記≫ 〈옥조玉藻〉에 “선어군 유훈도열膳於君 有葷桃茢(군주에게 맛좋은 음식을 올릴 때 〈부정한 기운을 제거하기 위해〉 훈채와 복숭아나무가지, 억새풀빗자루를 곁들인다.)”이라고 한 곳의 주에 “은 생강과 매운 나물이다.”라고 하였다. 그렇다면 훈채가 온갖 채소보다 앞선다는 것은 사실 그만 한 근거가 있다고 하겠다.


역주
역주1 谷量牛馬 : ≪漢書≫ 권91 〈貨殖傳 제61〉에 보인다.

순자집해(3) 책은 2021.01.29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