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荀子集解(4)

순자집해(4)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순자집해(4)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16-100 若是 則兵不復出於塞外라도 而令行於天下矣리라 若是 則雖爲之築而朝諸侯라도 殆可矣리라
明堂 天子布政之宮이라 於塞外三字 衍也 以前有兵不復出於塞外 故誤重寫此三字耳
庶幾也 秦若使賢人爲政이면 雖築明堂하여 朝諸侯라도 庶幾可矣
或曰 塞外 境外也 明堂 壇也 謂巡狩至方岳之下하여 會諸侯 爲宮方三百步 四門이요
或曰 築明堂於塞外 謂使他國爲秦築帝宮也
戰國策 韓王謂張儀曰 請比秦郡縣하여 築帝宮하고 祠春秋하여 稱東蕃이라하니 是也
○王念孫曰 楊前說是也 後說皆非


이와 같이 한다면 〈나라〉 군대가 더 이상 변방에 출동하지 않더라도 명령이 온 천하에 행해질 것이다. 그렇게 되면 비록 명당明堂을 축조하여 제후들이 와서 알현하게 하는 일이라도 대체로 가능할 것이다.
명당明堂명당明堂
양경주楊倞注명당明堂은 천자가 정사를 베푸는 행궁行宮이다. ‘어새외於塞外’ 세 자는 잘못 덧붙여진 글자이다. 앞에 ‘병불부출어새외兵不復出於塞外’구가 있기 때문에 이 세 자가 잘못 재차 써진 것일 뿐이다.
는 ‘대체로’라는 뜻이다. 나라가 만약 현능한 인물로 하여금 정사를 행하게 한다면 비록 명당明堂을 축조하여 제후들이 와서 알현하게 하는 일이라도 대체로 가능할 것이라는 것이다.
혹자는 “새외塞外는 국경 밖이고 명당明堂이다. 천자가 지방을 순행하는 길에 방악方岳 아래에 이르러 제후들이 모여 알현할 적에, 을 만드는데 사방 300의 면적에 네 개의 문을 트고,
은 사방 12에 높이는 4이며 그 위에 방명方明을 올려놓는 것을 이른다. ≪춘추좌씨전春秋左氏傳희공僖公 28년에 ‘위왕궁어천토爲王宮於踐土(천자의 행궁行宮천토踐土에다 만들었다.)’라고 한 것이 또 그와 같은 사례이다.”라고 하였다.
방명方明방명方明
또 혹자는 “변방 밖에 명당明堂을 축조한다는 것은 다른 나라들로 하여금 나라를 위해 황제의 행궁行宮을 축조하게 하는 것을 이른다.
전국책戰國策≫ 〈한책韓策〉에 ‘ 선왕宣王장의張儀에게, ‘〈우리 나라가 스스로〉 나라의 한 군현郡縣처럼 되어 나라 왕의 행궁行宮을 짓고 봄가을 제사에 쓸 공물을 바치면서 자칭 나라의 동쪽 번국蕃國이 되는 것을 이해해주기 바란다고 했다.’ 하였으니, 곧 이것이다.”라고 하였다.
왕염손王念孫양씨楊氏의 앞 설이 옳다. 뒤의 설들은 모두 틀렸다.


역주
역주1 明堂 : 제왕이 정치 교화를 펴는 장소이다. 조회, 제사, 포상, 인재 선발, 노인 봉양, 교육 등 국가의 큰 행사를 이곳에서 거행한다.
역주2 (於塞外) : 저본에는 ‘於塞外’가 있으나, 楊倞의 주에 의거하여 잘못 덧붙여진 것으로 처리하였다.
역주3 巡狩至方岳之下……加方明於其上 : ‘爲宮方三百步’부터 ‘加方明於其上’까지는 ≪儀禮≫ 〈覲禮〉의 내용인데, 爲宮 앞에 ‘諸侯覲於天子(제후가 천자를 알현할 적에)’라는 6자가 더 있다. ‘巡狩至方岳之下 會諸侯’는 이곳의 鄭玄의 注인 ‘王巡守至於方嶽之下 諸侯會之’를 약간 다르게 인용한 것이다. 여기서 말하는 宮은 평지에 낮은 흙담을 사각형으로 둘러친 것을 말하고 壇은 그 宮 안에 세 겹의 사각형 단을 한 단계씩 폭은 좁히고 높이는 높여가면서 쌓아 올린 것이다. 그리고 가장 높은 壇의 중앙에 方明을 올려놓는 堂이 있다. 1步는 6尺이므로 宮의 너비 사방 300步는 사방 1,800尺이다. 1尋은 8尺이므로 壇의 너비 사방 12尋은 사방 96尺인데, 이것은 하층으로 높이는 1尺이다. 중간층은 너비 사방 72尺에 높이는 2尺이고, 상층은 너비 사방 48尺에 높이는 3尺이다. 堂은 너비 사방 24尺에 높이는 4尺이다. 이곳에서 壇의 높이가 4尺이라고 한 것은 堂의 높이까지 포함한 것이다. 方岳은 사방의 큰 산으로, 東岳인 泰山, 西岳인 華山, 南岳인 衡山, 北岳인 恒山을 가리킨다. 方明은 육면체로 깎은 나무에 여섯 가지 색을 칠한 것으로, 상하 사방의 神明을 상징한다.
역주4 爲王宮於踐土 : ≪春秋左氏傳≫ 僖公 28년에 보인다. 踐土는 鄭나라의 땅이름으로 지금의 河南省 滎澤縣 서북쪽이다. B.C.632년에 晉 文公이 宋‧齊‧秦 등 동맹국과 楚나라를 城濮에서 격파한 뒤에 周 襄王이 군대를 위문하기 위해 내려온다는 말을 듣고 踐土 지방에 襄王이 머무를 행궁 한 채를 지었는데, 이 일을 말한다.

순자집해(4) 책은 2022.08.31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