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荀子集解(3)

순자집해(3)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순자집해(3)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11-20 如是 則夫名聲之部發於天地之間也 豈不如日月雷霆然矣哉
當爲剖 謂開發也 仲尼 匹夫空言이로되 猶得不隱乎天下하니 今若以顯諸侯行義 必如日月雷霆也
○先謙案 部是蔀之渻字 易豐其蔀 虞注 蔽也라하고 易略例 大闇謂之蔀라하니라
先蔀而後發이면 其光愈大하고 其聲愈遠이라 故曰部發이라하니라
11-21 故曰 以國齊義 一日而白이라하니 湯武是也
周 武王(≪萬古際會圖像≫)周 武王(≪萬古際會圖像≫)
當爲濟 以一國皆取濟於義 一朝而名聲明白하니 湯武是也


이렇게 되면 그의 명성이 천지간에 드러나는 것이 어찌 일월日月처럼 빛나고 천둥번개처럼 빠르지 않겠는가.
양경주楊倞注:‘’는 마땅히 ‘’가 되어야 하니, 열어젖히는 것을 이른다. 중니仲尼필부匹夫로서 당시에 실행되지 못한 말로만 드러냈는데도 오히려 그 명성이 천하에 묻혀버리지 않았으니, 지금 만약 저명한 제후로서 예의禮義를 행한다면 그 명성이 반드시 일월처럼 빛나고 천둥번개처럼 빠르게 퍼질 것이라는 말이다.
선겸안先謙案:‘’는 ‘’가 생략된 글자이다. ≪주역周易풍괘豐卦풍기부豐其蔀(밝은 빛이 구름에 가려졌다.)’의 우번虞翻의 주에 “는 ‘(가리다)’의 뜻이다.”라 하고, ≪주역약례周易略例≫에 “크게 어두운 것을 ‘’라 이른다.”라고 하였다.
먼저 가려졌다가 뒤에 열려지면 그 빛이 더 크게 빛나고 그 소리가 더 멀리 퍼지기 때문에 ‘부발部發’이라고 말한 것이다.
그러므로 “온 나라가 예의禮義를 실현하게 되면 그날로 명성이 드러난다.”라고 하였으니, 탕왕湯王무왕武王이 그런 경우이다.
양경주楊倞注:‘’는 마땅히 ‘’로 되어야 한다. 온 나라 사람들이 모두 예의禮義를 실현하게 되면 하루아침에 명성이 드러나니, 탕왕湯王무왕武王의 경우가 그렇다는 말이다.


역주
역주1 : ‘著’자와 통용한다.

순자집해(3) 책은 2021.01.29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