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荀子集解(1)

순자집해(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순자집해(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4-90 湯武存則天下從而治하고 桀紂存則天下從而亂하니
如是者 豈非人之情固可與如此하고 可與如彼也哉
○ 王念孫曰 豈 本作幾하니 古豈字也
今作豈者 後人不識古字而改之耳
案上文幾直夫芻豢稻粱之縣糟糠爾哉 注云 幾 讀爲豈
下同이라하고 下文幾不甚善矣哉 注云 幾 亦讀爲豈라하니라
後注旣言幾亦讀爲豈라하니 則前注不須更言下同이라
所謂下同者 正指此幾字而言이라
今改幾爲豈하니 則前注所謂下同者竟不知何指矣


탕왕湯王무왕武王이 있으면 천하가 따라서 다스려지지만, 걸왕桀王주왕紂王이 있으면 천하가 따라서 어지러워진다.
이렇게 되는 이유는 어찌 사람의 성정이 본디 이렇게 〈를 따라 어지러워지고〉 저렇게 〈를 따라 다스려지는〉 것이 아니겠는가.
왕염손王念孫 : ‘’는 본디 ‘’로 되어 있었으니, 옛날 ‘’자이다.
지금 ‘’로 되어 있는 것은 후세 사람이 옛 글자를 몰라 고친 것일 뿐이다.
살펴보건대, 윗글 “기직부추환도량지현조강이재幾直夫芻豢稻粱之縣糟糠爾哉(어찌 그저 저 고기와 백미‧좁쌀이 술지게미‧쌀겨와 크게 차이가 나는 그 정도일 뿐이겠는가.)”의 주에 “‘’는 ‘’자로 읽어야 한다.
아래의 경우도 같다.”라고 하였고, 아래 글 “기불심선의재幾不甚善矣哉(어찌 매우 좋은 것이 아니겠는가.)”의 주에 “‘’는 이 또한 ‘’로 읽어야 한다.”라고 하였다.
나중 주에 이미 “‘’는 이 또한 ‘’로 읽어야 한다.”라고 하였으니, 앞서의 주에서 굳이 아래의 경우도 같다고 말할 필요가 없다.
이른바 아래의 경우도 같다는 것은 곧 이곳의 ‘’자를 가리켜 말한 것이다.
그런데 지금 ‘’가 ‘’로 고쳐졌으니, 앞 주의 이른바 아래의 경우도 같다는 것이 결국 무엇을 가리키는지 모르게 되었다.



순자집해(1) 책은 2024.01.0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