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荀子集解(2)

순자집해(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순자집해(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爲察察之辯이나 而操持僻淫之事 七刀反이라
○王念孫曰 察辯二字平列注+辯字義見上이라이니 言能察能辯이나 而所操皆僻淫之術也
勸學篇曰 不隆禮 雖察辯이나 散儒也라하고 不苟篇曰 君子辯而不爭하고 察而不激이라하여 荀子書皆以察辯對文하니 不可枚擧


시비를 잘 살피고 말을 지혜롭게 하더라도 지론이 괴벽하고
양경주楊倞注:치밀하게 말을 잘하더라도 괴벽하고 음란한 일을 견지한다는 뜻이다. 의 음은 반절反切이다.
왕염손王念孫:‘찰변察辯’ 두 자는 나란히 배열한 것이니,注+’자의 뜻은 위에 보인다. 잘 살피고 말을 잘하지만 지론은 모두 괴벽하고 음란한 술수라는 것을 말한다.
권학편勸學篇〉에 “불륭례 수찰변 산유야不隆禮 雖察辯 散儒也(예법을 존중하지 않는다면 비록 시비를 잘 살피고 논변을 잘하더라도 쓸모없는 유자儒者일 뿐이다.)”라 하고, 〈불구편不苟篇〉에 “군자변이부쟁 찰이불격君子辯而不爭 察而不激(군자는 언변이 좋더라도 고집을 부리지 않고 시비를 살피더라도 각박하게 하지 않는다.)”이라고 하는 등 ≪순자荀子≫의 글 여러 곳에서 ‘’과 ‘’을 대구로 썼으니, 그 사례를 일일이 다 제시할 수 없다.


역주
역주1 察辯而操僻 : 楊倞과 王念孫은 ‘操僻’ 뒤에 다음 구의 ‘淫’자를 붙여 구두를 끊어 풀이하였으나, 여기서는 兪樾의 설에 따라 그렇게 하지 않았다.

순자집해(2) 책은 2023.12.18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