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荀子集解(1)

순자집해(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순자집해(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5-102 起於下所以忠於上이니 謀救是也
謀救 謂嘉謀匡救
此言談說之益不可以已也如是
○ 王念孫曰 謀救二字 於義無取
楊注以爲嘉謀匡救라하여 於謀上加嘉字하여 以曲通其義하니 其失也迂矣
余謂謀救 當爲諫救 字之誤也注+管子立政九敗解篇 諫臣死而諂臣尊 今本諫誤作謀하고 淮南主術篇 執正進諫 高注 諫或作謀라하니라
周官 有司諫司救하고 說文 止也라하고 論語八佾篇 女弗能救與 馬注與說文同이라
然則諫止其君之過 謂之諫救
故曰 起於下所以忠於上이니 諫救是也라하니라


이것이 백성으로부터 나와서 군주에게 충성을 바치게 되는 것이니 간쟁諫爭이 곧 그것이다.
양경주楊倞注 : ‘모구謀救’는 좋은 계책을 올리고 군주의 잘못을 바로잡는 것을 이른다.
이 글은 말로써 회유하는 것을 더욱 그만둘 수 없는 이유가 이와 같다는 것을 말한 것이다.
왕염손王念孫 : ‘모구謀救’ 두 자는 뜻에 있어서 취할 것이 없다.
양씨楊氏의 주는 ‘가모광구嘉謀匡救’라 하여 ‘’ 위에 ‘’자를 붙여 뜻을 억지로 통하게 하였으니, 그 잘못이 엉성하다.
나의 생각에는 ‘모구謀救’는 마땅히 ‘간구諫救’가 되어야 하니, 글자가 잘못된 것이다.注+관자管子》 〈입정구패해편立政九敗解篇〉의 “간신사이첨신존諫臣死而諂臣尊(간쟁하는 신하는 죽고 아첨하는 신하는 존귀해진다.)”이 지금 판본에는 ‘’이 ‘’로 잘못되었고, 《회남자淮南子》 〈주술편主術篇〉의 “집정진간執正進諫(정사를 담당한 관원이 간쟁하는 의견을 올린다.)”에서 고유高誘의 주에 “‘’은 혹 ‘’로 되어 있기도 하다.”라고 하였다.
주례周禮》 〈주관周官〉에 ‘사간司諫’과 ‘사구司救’가 있고, 《설문해자說文解字》에 “‘’는 ‘’의 뜻이다.”라고 하였으며, 《논어論語》 〈팔일편八佾篇〉의 “여불능구여女弗能救與(네가 멈추게 할 수 없겠느냐?)”에서 마융馬融의 주가 《설문해자說文解字》의 내용과 같다.
그렇다면 그 군주의 잘못을 간하여 멈추게 하는 것을 ‘간구諫救’라 한다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것이 백성으로부터 나와서 군주에게 충성을 바치게 되는 것이니 간쟁이 곧 그것이다.”라고 말한 것이다.



순자집해(1) 책은 2024.01.0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