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荀子集解(1)

순자집해(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순자집해(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4-77 安知禮義 安知辭讓이며 安知廉恥隅積이리오
言口腹無所知
一隅 謂其分也
積習이라
○ 王念孫曰 今是 猶言今夫也
說見釋詞是字下
先謙案 楊釋隅積之義未晰이라
隅積與禮義辭讓廉恥相配爲文하니 皆人所不可不知者
道之分見者也 道之貫通者也
解蔽篇云 道者 體常而盡變하니 一隅不足以舉之
曲知之人 觀於道之一隅하여 以爲足而飾之
惟孔子不蔽於成積이라하니 此即隅積之義
天論篇云 萬物爲道一偏이요 一物爲萬物一偏이라
愚者爲一物一偏이로되 而自以爲知道하니 無知也라하니라
荀子因時人蔽於一偏하여 肆爲曲說이라 故作解蔽以明之
此以隅積與禮義辭讓廉恥竝舉 亦其義也


만약 사람이 먹고 마실 것만 탐한다면 어디서 예의禮義를 알고, 어디서 겸양을 알고, 어디서 염치와 도리의 한 부분이나 전부를 알 것인가.
양경주楊倞注 : 먹고 마실 것만 추구하는 사람은 아는 것이 없다는 것을 말한 것이다.
’는 한 모서리로, 그 한 부분을 이른다.
’은 오랜 습관이다.
왕염손王念孫 : ‘금시今是’는 ‘금부今夫’라는 말과 같다.
이에 관한 설명은 《경전석사經傳釋詞》의 ‘’자 아래에 보인다.
선겸안先謙案 : 양씨楊氏가 ‘우적隅積’의 뜻을 풀이한 것은 분명치 않다.
우적隅積’과 ‘예의禮義’‧‘사양辭讓’‧‘염치廉恥’는 서로 짝을 지어 글이 이루어진 것으로, 이것은 모두 사람이 몰라서는 안 될 것들이다.
’는 도가 부분적으로 드러난 것이고, ‘’은 도가 전반적으로 관통한 것이다.
해폐편解蔽篇〉에 “도란 것은, 본체는 언제나 그대로이지만 변화하는 것은 끝이 없으니, 한 부분[一隅]으로는 그것을 포괄할 수 없다.
깊이 있게 알지 못한 사람은 도의 한 부분[一隅]만 보고 그것이 완전한 도라고 여겨 연구한다.
오직 공자孔子만이 선입견과 옛 버릇[成積]에 속아 넘어가지 않았다.”라고 하였으니, 이것이 곧 ‘우적隅積’의 뜻이다.
천론편天論篇〉에 “만물은 도의 한 부분이고 한 가지 사물은 만물의 한 부분이다.
우매한 사람은 한 가지 사물의 한 부분만 인식하면서도 스스로 도를 안다고 생각하니, 사실은 무지한 것이다.”라고 하였다.
순자荀子가 당시 사람들이 그 지혜가 한 부분에 가려져서 함부로 편협한 설을 주장하였기 때문에 〈해폐편解蔽篇〉을 지어 그것이 〈잘못되었다는 것을〉 밝힌 것이다.
여기서 ‘우적隅積’과 ‘예의禮義’‧‘사양辭讓’‧‘염치廉恥’를 함께 거론한 것도 그 뜻이다.


역주
역주1 今是人之口腹 : ‘今’은 ‘若(만약)’자와 같은 것으로, 가설의 뜻이다. ‘口腹’은 음식을 먹는 입과 먹은 음식을 담는 위장이란 뜻이지만, 일반적으로 먹고 마시는 것만을 탐하는 욕심을 가리킨다.

순자집해(1) 책은 2024.01.0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