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荀子集解(5)

순자집해(5)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순자집해(5)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22-111 欲不待可得이나 而求者從所可
凡人之 雖未可得이나 以有欲之意求之 則從其所可得者也
○盧文弨曰 宋本 注多賸字 今刪正이라
兪樾曰 待字衍이라 當作欲不可得而求者從所可 楊注 不釋待字 故知爲衍文이라
郭嵩燾曰 待字不可少 人生而有欲하여 不待其可得而後欲之
此根於性者也 若無待字 則文不成義 兪說非 下同이라


욕망이란 얻는 것이 가능할 때를 기다려 〈비로소 생기는 것은〉 아니지만 추구하는 사람이 얻을 수 있는 〈정황 아래서 나타난다.〉
楊倞注:일반적으로 사람의 情欲이란 비록 〈원하는 것을〉 얻을 수 없더라도 얻고자 하는 생각으로 추구하면 가능한 정황 아래에서 얻어진다는 것이다.
盧文弨宋本에는 〈楊倞의〉 주에 불필요한 글자가 많다. 여기서는 삭제하여 바로잡았다.
兪樾:‘’자는 잘못 덧붙여진 것이다. 마땅히 ‘欲不可得而求者從所可(욕망이란 〈원하는 것을〉 얻을 수 없더라도 추구하는 사람이 가능한 정황 아래서 얻어진다.)’로 되어야 한다. 楊氏의 주에 ‘’자를 풀이하지 않았으므로 잘못 덧붙여진 글자임을 알 수 있다.
郭嵩燾:‘’자는 줄여서는 안 된다. 사람은 태어나면서부터 욕망을 지녔으므로 원하는 것을 얻을 수 있는 때를 기다린 뒤에 무엇을 원하는 것은 아니다.
이는 본성에 뿌리를 둔 것이다. 만약 ‘’자가 없다면 글이 뜻이 이뤄지지 않는다. 兪氏의 설은 틀렸다. 아래도 같다.


역주
역주1 情欲 : 마음속에 일어나는 여러 가지 욕구를 말한다. 욕망과 같다.

순자집해(5) 책은 2020.12.29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