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荀子集解(3)

순자집해(3)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순자집해(3)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12-55 爲人主者 莫不欲彊而惡弱하며 欲安而惡危하며 欲榮而惡辱하니 是禹桀之所同也
此三欲하고 辟此三惡인댄 果何道而便 曰 在愼取相이니 道莫徑是矣
○先謙案 徑 猶疾也便也 修身篇云라하니 與此同이라


군주가 된 사람은 강대하기를 바라고 약소한 것을 싫어하며 편안하기를 바라고 위험한 것을 싫어하며 영광스럽기를 바라고 치욕스러운 것을 싫어하지 않는 이가 없으니, 이는 우왕禹王걸왕桀王이 동일한 점이다.
이 세 가지 바라는 것을 취하고 이 세 가지 싫어하는 것을 피하려면 과연 어떤 방법을 취하는 것이 편리할까? 그것은 재상宰相을 신중히 가려 취하는 데에 있으니, 이것보다 더 빠른 방법은 없다.
선겸안先謙案은 ‘빠르다’, ‘편리하다’는 뜻과 같다. 〈수신편修身篇〉에 “막경유례의莫徑由禮義(예의禮義를 따르는 것보다 더 빠른 길이 없다.)”라 하였으니, 여기의 경우와 같다.


역주
역주1 : 여기서는 취한다는 뜻이다.
역주2 莫徑由禮義 : 〈修身篇〉에는 ‘義’자가 없다.

순자집해(3) 책은 2021.01.29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50 서울시 종로구 삼봉로81, 1332호(두산위브파빌리온)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