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荀子集解(6)

순자집해(6)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순자집해(6)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23-97 天下知之하고
得權位則與天下之人同休戚이라 或爲共也
○王念孫曰 作共者是也 此本作欲與天下共樂之
上言仁之所在無貧窮하고 仁之所亡無富貴라하니
則此言與天下共樂之者 謂共樂此仁也 樂上不當有苦字
今本作同苦樂之者 共樂誤爲苦樂하고 後人又於苦樂上加同字耳
楊云 與天下同休戚 此望文生義而爲之說耳
太平御覽人事部七十六 引作欲與天下共樂之하고 無同字하니 則宋初本尙有不誤者


천하 사람이 그를 알아주면 천하 사람과 고락苦樂을 함께하려 하고
양경주楊倞注:권세와 지위를 얻으면 천하 사람과 기쁨과 슬픔을 함께한다는 것이다. 는 어떤 판본에는 ‘’으로 되어 있다.
왕염손王念孫:〈가〉 ‘’으로 된 것이 옳다. 이것은 본디 ‘욕여천하공락지欲與天下共樂之’로 되었을 것이다.
위에서 ‘인지소재무빈궁仁之所在無貧窮 인지소망무부귀仁之所亡無富貴(어진 덕이 있는 곳에서는 빈궁에 빠지는 일이 없고 어진 덕이 없는 곳에서는 부귀를 누리는 일이 없다.)’를 말했으니,
여기서 ‘여천하공락지與天下共樂之(천하 사람과 함께 즐긴다)’를 말한 것은 이 어진 덕의 〈정치를〉 함께 즐거워한다는 것을 이른다. ‘’ 위에 ‘’자가 있는 것은 옳지 않다.
지금 판본에 ‘동고락지同苦樂之’로 되어 있는 것은 ‘공락共樂’이 ‘고락苦樂’으로 잘못되었고 뒷사람이 또 ‘고락苦樂’ 위에 ‘’자를 더 붙인 것이다.
양씨楊氏가 말한 ‘여천하동휴척與天下同休戚’은 글자만 보고 대강 뜻을 짐작해 그렇게 말한 것일 뿐이다.
태평어람太平御覽≫ 〈인사부人事部〉 76에 이 글이 인용되어 ‘욕여천하공락지欲與天下共樂之’로 되어 있고 ‘’자가 없으니, 나라 초기 판본에는 아직 잘못되지 않은 부분이 있었을 것이다.


역주
역주1 欲與天下同苦樂之 : 王念孫의 주에는 ‘欲與天下共樂之’의 잘못이라고 하였으나, ‘苦樂’ 두 자는 위의 ‘貧窮’과 ‘富貴’를 이어받은 것이므로 잘못되었다고 하기 어렵다.

순자집해(6) 책은 2022.01.20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